![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are about to sign a defense cost-sharing agreement. As early as the 5th (local time), the possibility of an all-out settlement will be discussed at the 9th meeting between the negotiating representatives. [뉴스1]](https://i0.wp.com/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3/05/d7ef1a0d-07e6-44d4-be58-13e74ce80c49.jpg?w=560&ssl=1)
The ROK-US and the United States are about to sign a defense cost-sharing agreement. As early as the 5th (local time), the possibility of an all-out settlement will be discussed at the 9th meeting between the negotiating representatives. [뉴스1]
The signing of the Korea-US Defense Cost Share Agreement (SMA), which has lasted a year and a half, is imminent. The watershed is expected to be the ninth meeting between the ROK-US chief representatives to be held in Washington on the 5th (local time). The meeting will be attended by South Korean Ambassador for Defense Cost Sharing, Eun-bo Chung and US State Department Defense Cost Sharing Negotiation Representative, Donna Welton. Unlike the 8th meeting held by video on the 5th of last month, it is significant that the senior representatives have a face-to-face meeting this time. A diplomatic source said,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US administration, Joe Biden has changed the atmosphere of defense cost-sharing negotiations by 180 degrees. Unlike former President Trump, President Biden has an atmosphere that respects and considers South Korea’s position.”
Representatives of both sides meet in Washington on the 5th
13% increase, strong five-year multi-year agreement
“I hope this negotiation will be the last”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한미 간 9차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협상대사가 4일 워싱턴 로널드 레이건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서로가 수용 가능한 합리적이고 공평한 협상의 결과가 조속히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방위비 분담금을 둘러싼 이견이 대부분 해소됐다는 점은 양측이 밝힌 공식 입장에도 드러난다. 정은보 대사는 4일(현지시간) 워싱턴 로널드 레이건 공항에 도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추가적인 대면 협상이 필요할 수 있다”면서도 “이번 (협상이) 마지막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 역시 지난 3일 협상 진척 상황과 관련 “합의 도달에 매우 근접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가 거부한 ‘13% 인상안’ 합의 유력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추이. 그래픽=차준홍 기자 [email protected]
방위비 분담금은 주한미군 주둔을 위해 한국 측에서 부담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한·미는 그간 5년마다 협정을 갱신해 왔다. 이에 따라 2019년 말부터 2020년 분담금에 대한 협상을 진행해 지난해 3월 13%가량 인상하는 방안에 잠정 합의했다. 하지만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하며 최종 합의에 이르진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5배가량 인상된 금액인 50억 달러(약 5조6000억원)의 분담금을 요구하면서 협상은 1년간 공회전을 거듭했다.
분위기가 바뀐 건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면서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리한 분담금 인상 요구를 ‘동맹 갈취’로 규정하며 조기 타결로 협상 기조를 바꿨다. 이에 따라 앞서 한·미가 잠정 합의했던 13% 인상안에 대해 큰 틀에서 공감대를 마련한 상태다. CNN은 지난달 11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미가 기존보다 13% 인상하는 안에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계약 형태는 1년 계약이 아닌 5년간의 다년 계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5년 계약이 맺어질 경우 연간 분담금 상승률이 중요한 변수다. 첫해에 13%가 인상된 뒤 이듬해부터 매년 7~8%의 인상을 거듭할 경우 마지막 해인 5년 차에는 첫해 대비 50% 가까이 인상되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 외교 소식통은 “연간 상승률은 매해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되 4~5%의 상한선을 두는 등 상호 간 수용 가능한 방안이 도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 2014년 체결된 9차 방위비분담금협정은 연간 상승률이 4%를 넘지 않도록 하는 상한 규정을 뒀다.
주한미군 무급휴직, 블링컨 방한에 협상 추동력
![한미 양국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17~18일 한국을 방문하는 일정을 놓고 막판 조율중이다. 방위비분담금협상 타결에 이어 블링컨 장관 방한까지 성사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한미 동맹 복원 기조와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https://i0.wp.com/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3/05/297f692c-ed7d-4a6b-889b-859e9e191cbf.jpg?w=560&ssl=1)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are making last-minute adjustments to the schedule for US Secretary of State Tony Blincoln’s visit to Korea on the 17th and 18th.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defense cost-sharing negotiation, if Minister Blincoln visits Korea, it is expected to create synergy with the biden administration’s keynote to restore the ROK-US alliance. [로이터]
Even if an agreement is reached between the US and Korea at this face-to-face meeting, administrative and diplomatic procedures must be followed for final entry into force. First, the negotiation team must return to Korea and receive approval from the Blue House. After that, the two governments officially announce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go to and sign the agreement, and then go into effect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National Assembly for ratification. If the negotiations are concluded through this meeting,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coincide with the schedule of US Secretary of State Tony Blincoln’s visit to Korea in the third week of March, which is currently being adjusted. This means that you can watch Foreign Minister Eui-yong Eui-yong and Minister Blincoln go to and order the text of the agreement in Seoul. In this case, it can be an event that symbolizes the shape of the ROK-US alliance that has changed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Biden administration, which is meaningful to both sides.
If the negotiations are not completed within March, the fact that Korean workers in the USFK will be put on’unpaid leave’ from April 1st is a physical variable urging the settlement. This is the reason for the analysis that it will not take more time if a large framework of consensus has already been form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n this regard, an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xplained, “If an agreement is not reached before April regarding the US budget session, wage problems for Korean employees will arise.” .
Reporter Jeong Jin-woo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