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설 전 공급대책 발표>
실제로 완성하는데 3 ~ 4 년이 걸린다 … 급하게 소화 하기엔 부족하다
민간 규제 완화 및 양도세 완화와 같이 시장에 즉시 영향을 미칠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전문가“가구 급증에 대해 말하면 정책 실패를 피하려는 의지가 약화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설날 기자 회견을 앞두고있을 공급 대책 청사진을 공개했다. 문 대통령은“시장이 기대하는 수준을 훨씬 뛰어 넘는 부동산 공급을 특별히 늘려 공급 부족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전문가 및 시장 평가는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공급 확대에 대한 강조는 긍정적이지만 완공까지 최소 3 ~ 4 년이 소요되어 즉각적인 화재를 진압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또한 주택 가격 급등을 가구수 급증으로 바꾸는 등 ‘임대 법 등 부작용을 불러 일으키는 규제를 계속 유지’하는 등 기존 입장에서 변한 것은 없다. . 서진형 경인 여자 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한국 부동산 협회장)는“가구수 분화 등 인구 구조 변화를 예측하는 기본적인 책임은 정부에있다. 중장기 공급 계획을 수립합니다.” 그는 2 차임 대법 등 정책 실패를 피하겠다는 의도가 불려온 단어라고 지적했다.
◇ 20 만 ~ 30 만 가구가 시장 기대치를 상회 한 것으로 보인다 = 문재인 대통령의 전례없는 공급 조치 수주로 춘절을 앞두고 공급 계획 범위가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해 조치에는 전세에 대한 추가 조치가 포함됩니다. 이에 따라 설 연휴 전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에는 공영 주택 공급과 전세 증액 계획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처음에는 10 만에서 15 만 가구의 공급이 예상되는 시장의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시장에서 예상보다 더 많은 것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20 만 ~ 30 만 가구 공급 계획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논의중인 공급 계획은 서울의 고밀도 개발, 반 공업 지역 및 저층 주거 지역입니다. 현재 서울 주요 지하철역 인근 건물의 용적률은 160 %이지만 고밀도를 700 %로 개발해 주택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한 역 면적 반경을 350m에서 500m로 확대하고 일부 준공업 지역을 주거 지역으로 전환하여 공급량을 늘릴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 재개발과 공공 재건 또한 공급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앞서 서울시 동작구 흑석 2 지구 등 8 개 지역을 공공 재개발 시범 사업으로 선정 해 4,700 세대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거리 주택 정비 사업 및 소규모 재건축 사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고 호텔 및 사무실 전환 활성화를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기대된다. 전세 금액에 대해서는 공개 임대 차량을 더욱 확대 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서울 도심의 주택 공급 확대를위한 모든 조치를 검토하고있다”며“시장의 기대에 부응 할 수 있도록 최대한 확보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아직 탈출하지 못한 규제 보편주의 … 외부 요인은 여전히 남아 = 비 전통적인 공급 계획이 예상되지만 시장 평가는 냉소적이다. 완성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 만 발표 만해도 불안감이 해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에 대한 문 대통령의 인식에 대해 우려하고있다.
문 대통령은 가격 급등에 대해“시장의 유동성이 계속 풍부하고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펀드가 부동산 시장으로 돌진하고있다. “수요가 예상 공급량을 초과하여 시장 가격 상승을 유도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가구수 증가에 대한 발언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은이를 정책 실패를 은폐하기위한 발언으로 평가하고있다. 서 교수는“1 가구 1 가구 원칙에 따른 과세로 가구수가 급격히 차별화되고있다. 원인이 비난 받아 시장 안정화가 어렵다.” 또한 다양한 규제를 계속 유지하겠다는 성명서 시작 이후 유지해 온 정책과 다르지 않다. 명지대 부동산학과 권 대중 교수는“정부가 지금 공급 방향을 바꿔도 당장 점유 할 수있는 양이 아니기 때문에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게해야합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건국대 부동산학과 심 교언 교수도“공개 주식으로는 시장 안정이 어렵다”며“민간 시장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