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한 끼라도 방해 … MZ 세대 대기업 직원

직원들은 외식 회사와 식자재 회사 CJ 프레시 웨이가 운영하는 회사의 식당에서 식사를하고 있습니다.  공정 거래위원회는 삼성, 현대 자동차, LG, 현대 중공업, 신세계, CJ, LS, 현대 백화점 등 8 개 대기업이 외부 식당을 열기로 결정했다고 5 일 밝혔다.  한경 DB

직원들은 외식 회사와 식자재 회사 CJ 프레시 웨이가 운영하는 회사의 식당에서 식사를하고 있습니다. 공정 거래위원회는 삼성, 현대 자동차, LG, 현대 중공업, 신세계, CJ, LS, 현대 백화점 등 8 개 대기업이 카페테리아를 외부로 개방하기로 결정했다고 5 일 밝혔다. 한경 DB

공정 거래위원회의 기업 식품 시장 개방 방안이 논란이되고있다. 상생의 원인이 원인 임에도 불구하고 품질을 원하는 요식 업체, 중소기업, 직장인 등 어느 이해 관계자도 만족할 수없는 탁상 정권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있다. 식사. 기업 요식 시장 개방을 둘러싼 논란이 쟁점으로 지적됐다.

대기업 케이터링 시장 개방 결정 이후 대기업 게시판에 직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있다. “식당을 함바 하우스 (건설 현장 식당)로 만들겠다”는 비판에서“식사는 공정 거래위원회가 책임진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공정 거래위원회의 원인 인 ‘상생’효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고있다. 대규모 식사를 할 수있는 중소기업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물이 떨어지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식사는 사내 복지…”

“고 정주영 현대 회장이 ‘왜 회사가 종업원들에게 식사를해야하는데 왜 점심을 싸게 만드는가?’ 단체 급식의 탄생 배경입니다. 직원 복지 문제인 케이터링을 내부자 거래로 보는 것은 우스꽝 스럽습니다.”

6 일 공정 거래위원회의 압력으로 외부 업체에 식당 운영권을 개방 한 회사 관계자는“이해할 수 없다”고 답했다. 관계자는“직원 복지 측면에서는 케이터링 제휴사를 통해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있다. 갑자기 직원들의 식사를 중소기업에 맡겨야합니다.”

복지와 대우에 민감한 MZ 세대 (밀레 니얼 + Z 세대) 대기업 직원들의 반응은 훨씬 간단하다. 대기업 익명의 게시판에“식당을 함바집으로 바꾸려는 건가요?”라는 반응이 나온다.

○“중소기업은 다루기 어려울 것”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양질의 식단을 대체 할 중소기업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주요 요식 업체 수준에서 대규모 급식을 제공 할 수있는 중소기업은 많지 않다. 외식업에서는 1,000식이 중소기업의 표준입니다. 1,000 명 이상이면 중소기업이 식자재 조달과 조리를 처리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외식 업체 관계자는“SK 이천 반도체 캠퍼스에는 1 만식 이상이있다”며“1 만식을 공급할 수있는 중소기업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외식 업체 관계자는“대기업 계열사 케이터링 입찰이 열리면 결국 B 사가 A 사가 공급 한 물량을, A 사가 B 사가 공급 한 식량을 맡게된다”며 효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

전날 정부가 부른 대기업 계열사에 급식을 공급하는 삼성 웰 스토리, 아워 홈, 현대 그린 푸드, CJ 프레시 웨이, 신세계 푸드 등 5 개사가 대규모 식량 공급망과 시설을 갖추고있다. 이 회사들은이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했고이를 통해 단가를 낮추고 품질을 향상 시켰습니다.

대규모 투자에도 불구하고 이들 기업의 영업 이익률은 1 ~ 2 % 수준이다. ‘수익성있는 사업’이 아닌 임직원을위한 ‘복지 사업’으로 식사에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식사 입찰에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단가보다는 메뉴의 다양성과 영양사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식사의 질뿐만 아니라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한 식당 격리 문제 등 예상치 못한 리스크 관리가 더욱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정 거래위원회의 의견으로는 ‘친척을 쫓아 내다’라는 사실을 업계가 오도하는 입장이다. 이는 대기업 계열의 모든 케이터링 회사가 아워 홈을 제외한 정상적인 지분 투자 관계를 가진 그룹에 속해 있기 때문입니다.

KAIST 이병태 KAIST 경영학 교수는“FTC는 규제보다는 소비자의 복지와 권리를 추구해야하는 기관이지만 대기업 규제 기관으로 변모했다”고 비판했다.

전주 리 / 황정수 / 박종관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