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속속 도발을 택한 김정은, ‘강 대강 이온 대선’경고 …

북한은 한동안 새 미국 행정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외교 및 국방 장관 회담을 앞두고 미국에 대한 미국의 압력
21 일 순항 미사일, 25 일 탄도 미사일 발사
미국의 새로운 대북 정책 발표에 앞서 북한 식 ‘압축 전술’
북한의 친중 운동 ‘방어 개발 계획’이행 의지


[앵커]

관망세를 유지하고자했던 북한은 최근 저 ​​강도 도발로 한미를 잇달아 자극하는 모습으로 변모했다.

미국의 새로운 대북 정책 발표를 앞두고 ‘강 대강 일선’정책을 압박하는 것으로 보이며 정확한 의도에 주목하고있다.

황혜경 기자가 보도한다.

[기자]

지난해 11 월 바이든 대통령이 당선되어 올해 1 월 취임했을 때도 북한은 미국에 대한 발언을 매우 꺼려했다.

그는 1 월 말까지 선전 매체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했다.

북한의 갑작스런 태도 변화는 한미 외교 장관과 국방 장관 회담 이틀 전인 16 일이었다.

[조선중앙TV / 김여정 부부장 담화(지난 16일) : 미국의 새 행정부에도 한마디 충고한다. 앞으로 4년간 발편잠을 자고 싶은 것이 소원이라면 시작부터 멋없이 잠 설칠 일거리를 만들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이틀 후 대미 전략을 맡고있는 최선희는 ‘적대적 정책을 계속한다면 무엇을 할 것인지 신중하게 생각하라’며 압박을 받았다.

21 일 순항 미사일을 발사했고 25 일에는 유엔 대북 제재를 위반 한 탄도 미사일까지 발사했다.

북한의 움직임은 미국의 새로운 대북 정책 발표에 앞서보다 우호적 인 고지를 점령하려는 ‘압축 기법’중 하나로 꼽힌다.

[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미국의 대북정책 재검토 기간이 길어지고 있고 그 사이에 미국의 북한에 대한 인권공세나 말레이시아 북한 공민 미국 인도라든지 공세가 심해지고 있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영향, 북한의 존재감 과시 이런 측면에서 이번 무력 시위가 있었다고 봅니다.]

한편으로는 심화되는 미중 갈등 속에서 본격적으로 친중 조치를 취한 북한이 미국의 제재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 될 수있다.

[김동엽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미국을 바꿔본다든가, 대북정책에 영향을 미쳐본다든가 이런 것을 기대하고 북한이 군사적인 행동을 한다든가 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분석이라고 봐요. 오히려, 자신들이 계획한 대로 ‘마이웨이’를 간다는 메시지를 보내면서 차근차근….]

실제 내부가 어떻든간에 도발을 시작한 북한이 점차 강도를 높여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나 잠수함이 발사 한 탄도 미사일을 방출하거나 발사 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어떤 상황에서도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어서는 안된다는 한국 정부의 외교력이 다시 시험을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YTN 황혜경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