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김승연 회장 장남 김동관 사장 ‘우주 산업’선임

‘스페이스 허브’팀장으로 미래 식량 진두를 선도하다

김동관 사장은 한화 그룹의 우주 산업을 책임질 우주 허브 팀장으로 미래 식품 사업을 이끌 것이다.[사진=한화그룹 유튜브 캡쳐]

[News Quest = Reporter Kim Bo-min]한화 그룹 김동관 회장 (38)의 장남 김승연 (사진) 한화 솔루션 사장 (사진)이 한화의 우주 산업을 물려 받아 그룹의 미래를 새롭게 그린다.

김 사장은 한화의 그린 · 수소 사업은 물론 그룹의 주력 사업 인 방산 사업을 이끌고 있으며, 활동 범위를 우주 사업으로 확대하고있다.

한화는 7 일 “그룹 내 여러 계열사에 흩어져있는 우주 산업 전반을 지휘하기 위해 ‘스페이스 허브’가 론칭된다”고 밝혔다.

그룹이 야심 차게 추구하고있는 우주 허브는 국내 발사체 ‘누리’개발에 참여한 국방 자회사 한화 에어로 스페이스의 엔지니어를 중심으로한다.

또한 한화 시스템의 통신 및 영상 장비, 한화의 무기 체계 전문가, 한화 에어로 스페이스의 국내 최초 위성 전문가 셋렉 아이 지분 30 %도 참여한다.

스페이스 허브는 해외 민간 우주 프로젝트 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발사체, 위성 등 생산 분야와 통신, 지구 관측, 에너지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연구와 투자에 집중하기로했다.

김 사장은 “우주 산업은 누군가가해야 할 분야이다”며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전폭적 인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 엔지니어들과 함께 우주로가는 지름길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의 미래 사업 영역 중 하나 인 우주 산업에서 김 사장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는 것은 이미 예견된 바있다.

한화 솔루션 사장 겸 한화 전략 본부장을 겸임하고있는 김씨가 29 일 항공 우주 상무 이사로 선임 될 예정이다.

그가 어떤 직책을 맡을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Space Hub ‘팀장’이 그의 첫 역할이되었습니다.

관련 산업에서는 한화가 세트 렉 아이 지분 인수를 통해 우주 사업 확대를위한 중요한 기술을 확보 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현재 관련 기능과 기술은 계열사별로 흩어져있어 단순한 협업 수준에 국한되어 있지만 ‘스페이스 허브’의 역할은이를 하나로 모아 특정 비즈니스 청사진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한화는 “항공 우주 발사체에 Setrec Eye 위성을 탑재하고 한화 시스템 통신 시스템을 탑재 할 수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Que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