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상황 : 변상욱 앵커
■ 출연 : 미얀마 현지 학생
* 아래 내용은 실제 방송 내용과 다를 수 있으므로보다 정확한 정보는 방송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미얀마 군사 쿠데타가 일어난 지 한 달이 지났는데 어제 시위 도중 38 명이 사망 한 비극이 있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유엔 특사는 미얀마에서 실제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표명했습니다.
지역 상황이 점점 더 혼란스러워지면서 미얀마 지역을 연결합시다. 저는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 한 미얀마 인입니다. 인터뷰는 개인 보호를 위해 익명으로 진행됩니다.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내 말 이해 했어?
[인터뷰]
안녕?
[앵커]
어려운 상황에서 인터뷰에 응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익명 성을 요구하셨습니다. 진짜 군대는 어떤 종류의 발신 뉴스를 검열합니까?
[인터뷰]
상황이 상황이라 신분을 밝히면 나중에 힘들어서 익명을 요구했다. 지난 며칠 전 양곤의 특정 지역에서 군인들이 지나가는 사람들의 휴대폰을 조사해 SNS에 보여달라고 요청한 사례가 있었다.
사람들도 지금 조심하고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지난달 28 일을 피의 일요일이라고 부를 정도로 피비린내 나는 진압이 있었고 그 후에도 계속 죽어 거의 60 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군대가 시위대에게 계속해서 탄약을 발사한다는 소식을 듣습니다. 오늘날 양곤의 상황은 어떻습니까?
[인터뷰]
오늘날에도 양곤의 여러 곳에서 시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경찰과 군인에 대한 탄압은 계속해서 격렬하게 진행됩니다.
[앵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
[인터뷰]
어제 현지 언론에 50 명이 넘는 사망자가 보도 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앵커]
그리고 우리가 가장 아쉬워하는 장면 중 하나는 어제 미얀마의 두 번째 도시입니다. 우리는 Chial Shin이라는 19 세 여성이 Mandelay의 시위에서 슬프게 살해되는 장면을 보았습니다.
다시 입고 있던 티셔츠에 잘 어울립니다. 이 문구가 시위의 새로운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현지 반응은 무엇입니까?
[인터뷰]
그 문구를 보면 신 치알 씨가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는 사람들을 위로하고있는 것 같았고, 반면에 자신을 위로하고 있다는 느낌이 너무 아팠습니다.
[앵커]
이러한 불행한 죽음에도 불구하고 군대가 쉽게 철수 할 것 같지는 않다. 그러면 군대가 강경에 계속 대응해도 국민은 계속해서 다시 저항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인터뷰]
이제 국민들은 우리 아이들이 그렇게 살지 않기 위해 목숨을 잃어도 끝까지 싸울 것을 다짐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이 싸움에서지면 우리는 다시 독재 정권이 될 것이고 그들은 군대에가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예전처럼 독재.
그래서 우리 국민들의 저항은 계속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앵커]
한국에서도 한국의 근대사를 아실 지 모르겠지만 1980 년 5 월 광주에서 무자비한 군대 탄압이있었습니다. 그 당시 국제 사회의 도움이 절실했지만 지금 미얀마 국제 사회의 가장 절실한 필요는 무엇일까요?
[인터뷰]
지금 당장 필요한 국제적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군에 대한 제재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좋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저는 우리 국민의 보호에 대한 책임을 보장하는 것이 UN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앵커]
한국에서는 미얀마를 돕기위한 한국 정부의 조치가 빨리 나오도록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과 세계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으시면이 기회에 꼭 부탁드립니다.
[인터뷰]
우리 미얀마 국민들은 민주주의를 절실히 원하며 지금은 목숨을 걸고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나는 매일 싸우고있다.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중요한 이슈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국제 사회의 많은 지원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미얀마 쿠데타를 일으킨 군대에 대한 효과적인 제재가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앵커]
저는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 한 미얀마 현지인이었습니다. 안전을 기원합니다. 미얀마의 민주주의가 빠르게 회복되기를 바랍니다. 오늘 감사합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