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 미투’계속 … ‘가해자를 위해 항의했지만 클럽은 해산’

[앵커]

과거 학교 폭력에 대한 프로 배구 선수들의 불만이 있습니다. 사회적 공감을 얻은 ‘미투’운동처럼 희생자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억압했던 이야기가 이제 하나 둘 세상에 나오고있다. 오늘 (16 일) “학교 폭력 가해자가 합류했다는 소식을 듣고 동호회에 항의했지만 무시 당했다.” 문제가 커지 자 대통령은 또한 “학교 폭력을 국가 대표의 전 과정에 걸쳐 근절하기위한 노력”을 요구했다.

먼저 문 상혁 기자입니다.

[기자]

“장례식장에서 춤출 게요.”

배구 선수가 학교 폭력을 저질렀다는 폭로가 오늘 나왔습니다.

피해자는 인터넷 게시판에 게시 된 기사에서 “작년에 ​​합류 한 배구 선수에 의해 초등학교에서 3 년 동안 지속적으로 언어 폭력을 당했다”고 고백했다.

나는 이에 대해 클럽에 두 번 말했다. 그러나 “직접 동의”라는 대답을 듣고 배구 협회에 불만을 제기했을 때 클럽은 “증거를 위해”클럽에 연락했다고 주장했다.

클럽 측은 선수가 고등학교 때부터 배구를했다고해서 사실을 확인하기 어렵다고했다.

[구단 관계자 : 선수 입장에서는 ‘정확하게 학교폭력이라고 할 만한 그런 건 없었다’ 그런 주장… 사실관계가 확인되는 대로 즉시 조치를 취할 예정입니다.]

잔인한 기억이 오늘날까지 이어 졌다고 불평했던 피해자는 가해자의 어머니로부터“딸이 배구를 그만두면 공황 장애가 사라질 것”이라는 말을 듣고 화를 터뜨렸다.

“중학교 캠프 때 동료 선수들이 머리를 바닥에 눕혔습니다.”

어제 학교 폭력에 대해 말한 또 다른 피해자의 누나는 “거짓말이없는 것이 사실인가?”라는 내용이 담긴 가해자의 메시지를 공개했다. 그리고 ‘두 번째 위반’을 중지하라고 호소했습니다.

외신들도 이재영과 다영 다영 대표의 학교 폭력 논란을 시작으로 일간 ‘체육 학대 논란’에 주목했다.

영국 데일리 메일은 한국이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 모두 10 위권에 드는 스포츠 강국이지만 치열한 경쟁이 치열한 한국 사회에서 승리는 모두 스포츠이며 신체적, 언어 적 폭력이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디오 디자인 : 최수진 / 비디오 그래픽 : 김정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