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OECD“포용 적 문화 성장으로 한국인의 삶의 질 향상”

KDI-OECD ‘한국의 포용 적 성장’평가

“뉴딜의 한국판 ‘포용 사회’는 적절한 정책입니다.
노동 시장 이중 구조와 고용 격차 해소”
전문가“저임금 일자리 감소는 비생산적입니다”

경제 협력 개발기구 (OECD)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 정책 중 하나 인 ‘포용 적 성장’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 시켰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 후반기에 ‘한국판 뉴딜’도 ‘포용 사회’실현을위한 바람직한 정책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그는 한국의 이중 노동 시장 구조와 대 ·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한다고 지적했다.

8 일 OECD와 한국 개발 연구원 (KDI)은 ‘한국의 포용 적 성장 연구 : 모두를위한 기회 창출’보고서를 개최하고 2019 년부터 2 년간 두 기관이 수행 한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OECD가 회원국의 포용 적 성장 상태를 국제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 한 ‘부문 별 지표 시스템'(프레임 워크)을 적용한 최초의 보고서입니다. ▲ 1 인당 국내 총생산 (GDP) 증가 ▲ 소득 분포 (5 분위 배수) ▲ 부부의 40 % 하향 ▲ 상대 빈곤율 ▲ 고용률 ▲ 임금 분포 ▲ 성별 임금 격차 ▲ 세대 간 소득 상관 계수 ▲ 정부 신뢰도 연도 조사 실시되었습니다.

OECD는“한국 정부는 성장과 분배의 균형을 통해 모든 계층의 경제 활동 참여를 강조하는 정책 패러다임으로 전환했다. 이를 통해 가계 소득과 청년 · 여성 고용률이 개선되고 저임금 근로자 비율과 연간 근로 시간도 개선됐다. 감소했습니다.” 무상 고등학교 수업료, 대학 입학금 폐지 등 공교육 강화 정책은 저소득층 가정의 사회 참여 기회를 크게 확대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삶과 삶의 안정에도 기여했습니다.”

그는 한국판 뉴딜에 대해 “디지털 변혁과 친환경 성장이 두 가지 기둥이며 고용 안전망 강화를 통한 소외 계층 지원”이라고 말했다. 공공 부문 비정규직 정규화, 최저 임금 및 실업 급여 확대, 고용 보험 적용 확대 등이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격차를 줄여 고용 복지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노동자.

그러나 OECD는 한국의 노동 시장 이중 구조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비정규직의 여건을 개선하고 최저 임금제를 강화하여 고용 격차를 해소 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자동화로 인한 실직 등 급변하는 노동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회 안전망 구축과 소득 재취업 지원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한국은 세계 6 위 수출국으로 성장했지만 재벌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의 발전이 서비스업, 제조업, 대 ·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는 물론 혁신을 저해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문재인 정부의 포용 적 성장이 우리 사회를 한 단계 끌어 올리려는 시도라고 진단했지만 ‘반 성공’에 불과했다. 양준석 가톨릭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후진 자들을 같은 입장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좋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은 그 결과 부작용이 더 많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최저 임금은 빈부 격차를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맞다.하지만 저임금 일자리를 줄이는 역효과가있다.” 연세대 학교 경제학과 성태윤 교수는 “문재인 정부는 소외되고 어려운 계층을 더 고려하는 경향이있어 높은 평가를 받고있다”고 말했다.

세종 · 임 주형 기자 [email protected]
세종 나상현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