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 년 피해 … 10 개사 중 4 개사 ‘비상 관리’영향

[서울=뉴스핌] 김선엽 기자 = 한국에서 지난해 코로나 19 발생 당시 피해를 입은 10 개 기업 중 8 개 기업 중 4 개가 비상 관리를 실시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한 상공 회의소가 국내 302 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조사 결과 ‘코로나 위기 1 년, 산업 영향 및 정책 과제’.

코로나 위기의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75.8 %가 ‘손상’이라고 답했습니다. 또한 기업의 8.3 %가 생존 위협을 받았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기업에 ‘다소 도움이된다’는 응답은 14.6 %에 불과했고 좋은 기회라고 답한 사람은 1.3 %에 불과했다.

또한 생존 위협이나 피해의 영향을받는 10 개 기업 중 4 개 기업이 비상 관리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선엽 기자 = 2021.01.31 [email protected]

비상 관리 진입 이유의 대부분은 매출이 저조 (79.0 %)였으며, 취해진 조치의 대부분은 ‘임금 인하'(71.9 %), ‘휴가 / 휴가'(50.0 %) 등 비용 절감이었다.

대한 상공 회의소는 “지난해 한국 경제가 OECD 국가 중 마이너스 성장을 최대한 활용했지만 코로나 19 위기를 극복하기위한 특별한 부양책 때문”이라고 말했다. “변이 형 코로나 확산, 미중 갈등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아직 규모가 크고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기업이 많기 때문에 계속해서 대비할 필요가있다.”

백신 접종 이후 영업 활동 정상화시기는 올해 3 분기와 4 분기를 중심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업종별로 전망이 다르기 때문에 경기 회복과 아웃 도어 활동의 큰 수혜자 인 ‘정제’는 올해 2 분기 말부터 빠르게 회복하고 있으며, ‘가전’과 ‘건설’은 3 분기부터 집콕 및 주택 공급 확대로 도약하고있다. 반면 심각한 피해를 입은 ‘항공 / 여행’과 ‘비즈니스 서비스’, 4 분기 ‘공연 문화’등은 내년 이후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됐다.

◆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이 끝난 후에도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는 계속됩니다 … 변화 추세는 위험보다 기회입니다

코로나 위기에 따른 디지털화와 무인화의 변화는 코로나 종결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코로나 위기 종료 이후 사업 환경의 약 72.8 % ‘코로나로 인한 변화는’가속, 확산, 코로나 19와 유사 ‘,’코로나 전 복귀 ‘전망 ‘는 27.2 %에 불과했습니다.

‘영업 및 마케팅 활동'(46.1 %), ‘직장 유형 (25.4 %)’이 이전 방식으로 복귀하기 가장 어려웠고, ‘채용 및 교육'(18.9 %), ‘기획 전략'(12.3 %)이 그 뒤를이었습니다. . ), ‘모금 및 결제'(11.4 %).

또한 기업들은 코로나 위기 이후의 변화 추세를 ‘기회 요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특히 디지털, 바이오 등 ‘신산업의 등장'(3.34), ‘친환경 트렌드 확대'(3.20), ‘글로벌 공급망 (GVC) 재편'(3.18), ‘비 대면 온라인'(3.17). 나는 그것을 기회로 인식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선엽 기자 = 2021.01.31 [email protected]

정혁 서울대 국제 대학원 자문위원은“코로나 위기에 따른 변화의 추세와 신산업의 출현은 우리의 IT 인프라와 제조 기반의 강점을 드러 냈으며 동시에 IT 인프라와 제조 기반을 활용하여 서비스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과제가 있음을 확신하게되었습니다. “

정 자문위원은“현재 한국 경제의 비교 우위와 향후 발전 방향 측면에서 유망 산업을 육성 할 수있는 규제 완화 분야를 발굴하여 적극 추진하고 코로나 쇼크 취약 산업 지원 일시적인 조치가 아닙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60 %의 기업이 코로나 이후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 … 대기업 72 % 대 중소기업 53 % 차이

코로나 위기 이후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59 .6 % ‘가’대응 중 ‘인지’계획 준비 중 ‘이라고 답했다.

기업 규모 별로는 대 · 중견 기업의 71.8 %가 대응하고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52.6 %만이 변화를 준비하고있다.

응답자들이 가장 추진 한 계획은 ‘신사업 강화'(26.7 %), ‘변화 모니터링 확대'(25.0 %), ‘비즈니스의 디지털 변혁'(19.4 %), ‘친환경 경영 강화'(13.9 %)였다. ). 그리고 ‘공급망 다각화'(12.8 %)가 뒤를이었습니다.

올해 기업 경영 실적을 결정 짓는 주요 변수는 ‘코로나 백신 공급 및 면역 형성'(36.4 %), ‘이자율 및 환율 변동'(22.2 %), ‘기술 패러다임 변화 (16.9 %)’, ‘국내’순이다. 수단. 트렌드 ‘(16.6 %),’글로벌 무역 환경 ‘(7.9 %) 순입니다.

[서울=뉴스핌] 김선엽 기자 = 2021.01.31 [email protected]

마지막으로 기업들은 코로나 19 발생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적절하다’고 응답자의 57.7 %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현재 가장 필요한 정책은 ‘자금 및 세금 지원'(64.2 %)이었다.

코로나 19 이후 대응해야 할 정책 과제는 ‘지속적 자금 지원 및 조세 지원 정책'(49.7 %), ‘신산업 선제 투자'(13.6 %), ‘법률 · 제도 합리화'(11.9 %) 등이다.

“작년이 갑작스런 코로나 불황 속에서 생존이 걱정되는시기 였다면 지금은 위기 극복 정책을 이어가고 미래 ​​성장 기반을 넓혀야 할 때입니다.” “친환경 확장, GVC 재편 등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전통 산업 접목과 신산업 육성 및 산업 구조 조정을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

설문 조사는 국내 302 개 업체를 대상으로 전화로 진행됐으며 이달 12 일부터 21 일까지 통과됐다.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