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로봇의 속도가 전세계로 확산 … 임금 및 고용 증가율 감소

한은은 “고 부가가치 산업과 부문 간 노동력 이동으로 일자리를 늘려야한다”

로봇이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국 산업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실질 임금과 근로자 증가율이 낮아지고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은행이 27 일 발표 한 ‘산업용 로봇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서 가동되는 산업용 로봇의 수는 2000 년 38,000 대에서 2018 년 약 8 배로 증가한 30 만대 (기준 국제 로봇 연맹).

판매대 수도 5 천만대에서 38,000대로 약 7 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 세계에서 가동 및 판매되는 산업용 로봇의 총 대수는 각각 3.2 배 (750,000 대 → 2439,000 대), 4.3 배 (99,000 대 → 422,000 대) 증가하여 훨씬 빨라졌습니다.

2000 년부터 2007 년까지 연평균 1.26 대였던 한국의 로봇 밀도 (제조업 근로자 1,000 명당 가동하는 로봇 수)도 2010 년부터 2018 년까지 5.28대로 뛰었다.

같은 기간 일본 (0.07 → 0.12), 미국 (0.9 → 0.93), 독일 (1.09 → 0.89), 대만 (0.68 → 1.5)이 크게 증가했다.

한은은 한국에서 산업용 로봇의 급속한 확산은 2009 년부터 2018 년까지 세계 로봇 가격이 38.6 % 하락했고, 전기, 전자, 화학 등 로봇 활용도가 높은 산업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리고 한국 산업에서 운송 장비.

국내 산업별 ‘로봇 침투’정도를 추정 한 결과, 특히 자동차, 전자 부품, 컴퓨터 산업에서 로봇의 유통이 빠르게 진행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 보급률이란 실제 1,000 명당 로봇 유통 증가율과 산업 부가가치 증가율 예상 증가율 사이의 격차를 의미한다.

로봇의 침투 정도가 0보다 크면 로봇의 침투 속도가 산업의 부가가치 성장률보다 빠르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2010 년부터 2018 년까지 자동차 사업에서의 로봇 보급률은 연평균 6.3 대 증가했다.

2010 년부터 2016 년까지 전자 부품 및 컴퓨터 산업의 로봇 보급률도 연평균 3.05 대 증가했습니다.

한은의 로봇 보급률, 근로자 수, 실질 임금의 관계를 분석 한 결과, 로봇 보급률이 2010 년부터 2018 년까지 산업계에서 1 단위 증가하면 근로자 수 증가율은 약 0.1 % 포인트 (p), 실질 임금 상승률은 각각 약 0.3 % 포인트 씩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은은은 한 보고서에서“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 이후 기술 발전과 디지털 변혁과 함께 로봇의 역할이 꾸준히 확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계속해서 새로운 고 부가가치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부문 간 ‘노동 이동’을 확대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윤합 뉴스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