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뉴딜’으로 글로벌 그린 마켓 선점

관계 부처 공동 ‘K- 뉴딜 글로벌화 전략’발표 … 5 년간 30 조원 지원
2025 년 그린 뉴딜 해외 수주 30GW 목표 … 전략 시장 별 프로젝트 발굴

[에너지신문] 정부는 향후 5 년간 수출 금융 30 조원, 그린 · 디지털 신 계약 분야의 ODA 확대 등 총 지원을 통해 2025 년까지 해외 수주를 30GW까지 확대 할 예정이다.

▲ 13 일 서울 정부 청사 공동 설명 실에서 'K- 뉴딜 글로벌화 전략'관련 산업부 관계 부처 관계자들이 '제 26 차 긴급 경제 중앙 대책 본부 회의와 9 차 회의'에서 논의했다. 한국판 뉴딜 장관 회의 '.  브리핑을 받았습니다.
▲ 13 일 서울 정부 청사 공동 설명 실에서 ‘K- 뉴딜 글로벌화 전략’관련 산업부 관계 부처 관계자들이 ‘제 26 차 긴급 경제 중앙 대책 본부 회의와 9 차 회의’에서 논의했다. 한국판 뉴딜 장관 회의 ‘. 브리핑을 받았습니다.

13 일 산업 통상 자원부 (성윤모 장관)와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 (최기영 장관)는 제 26 차 비상 경제 중앙 대책 본부 회의와 제 9 차 한국 신규 그린 및 디지털 신규 거래 분야의 해외 시장에서 거래 장관 회의. 국내 선점과 국내 일자리 확대를위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K- 뉴딜 글로벌화 전략’을 발표했다.

‘K- 뉴딜 글로벌화 전략’은 코로나 19 이후 글로벌 그린-디지털 경제 확산에 따른 관련 시장의 성장과 협력 수요 증가에 선제 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이를위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집착을 통해 ‘국내 일자리 창출 확대’의 성과를 전파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주요국의 녹색 경제와 디지털 경제의 전환에 따라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새로운 국제 질서 형성을위한 글로벌 협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보고 있으며이를 위해 세계화 전략은 해외 시장 선점을위한 뉴딜의 초기 단계입니다. 목표는 성과 확산을위한 선순환을 구축하여 국내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는 것이 었습니다.

이 전략은 2025 년까지 그린 뉴딜 해외 수주 30GW를 ​​달성하고, 선진 · 신흥 등 4 대 전략 시장 각각에 대한 유망 사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해 공공 · 민간과 공동으로 총력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미국과 EU를 포함한 시장. 했다.

우선 그린 뉴딜에는 8 개의 과제가 있습니다. 재단 등

각 산업을 살펴보면 그린 에너지는 주요국의 탄소 중립 선언과 기후 변화 대응 강화로 관련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경쟁력있는 국내 기업의 진입과 수요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그린 에너지 전환이 확산됩니다. 있다.

그린 모빌리티 산업에서는 글로벌 신차에서 전기 · 수소 차 비중이 지난해 2 %에서 2030 년 20 ~ 30 %로 급격히 증가했으며, 친환경 선박도 신축 100 %로 확대 될 전망이다. 2050.

또한 한국의 전기 / 수소 자동차와 친환경 선박은 효율, 연비 등 성능이 우수하고 배터리도 세계 최고로 경쟁력이 뛰어납니다. 따라서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미래 모빌리티로의 전환과 함께 전기 · 수소 차, 친환경 선박 수출 및 국내 배터리 업체의 현지 투자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부문 별 경쟁 여건 분석을 통해 그린 뉴딜 분야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 전략 시장 별 유망 사업 발굴 △ 그린 뉴딜 수출 및 수주 재정 지원 강화 △ 해외 진출 확대 녹색 중소기업 확대 △ G2G 협력 강화 사업을 통한 해외 진출 추진 등 4 개 사업이 도출되었습니다.

▲ 그린 뉴딜 프로모션 일정.
▲ 그린 뉴딜 프로모션 일정.

우선 정부는 △ 고급 성숙도 △ 신성장 △ 분산 전원 △ 에너지 다변화 등 4 대 전략 시장의 특성에 따른 유망 사업 발굴에 주력하고 수출과 수주를 집중 지원한다.

신 재생 에너지, 전기 · 수소 차 (미국, EU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있는 선진 시장은 전기 · 수소 차, 해상 풍력 등 유망 분야에 집중하여 공동 연구 개발 및 투자 등 협력 확대, 사용 수주 확대 IPP (민간 발전). 해야 할 정책입니다.

또한 동남아, 중남미 등 신 재생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시장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 시장은 그린 뉴딜 ODA, 다자 개발 은행 (WB, ADB, IDB 등), PPP (공공 -민간 파트너십). 에너지 공급 및 송배전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를 촉진합니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ESS와 연계 된 소규모 도서 지역에서 독자적인 그리드 형 시장을 형성 한 분산 전력 유망 시장에서 신 재생 에너지 설비 (태양 광, 풍력 +) 지원을 위해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ESS 등) 및 패키지의 시스템 시설. 그린 에너지 시장에서 고성장을 보일 에너지 다각화 시장에서는 사우디 아라비아, UAE 등 발전 비용이 낮은 태양 광을 중심으로 태양 광, 해상 풍력, 태양 광과 연계한 담수화 설비로 진출, 태양열 물 전기 분해 및 재생 에너지를 통한 담수화. R & D 협력 등 프로젝트 발굴을 계획하고있다.

또한 ‘해외 질서 지원 협의회’에 그린 뉴딜 TF를 설치하여 민관 공동 해외 진출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4 개 분야에서 제외 된 공간을 중심으로 지자체와 협의를 통한 기업 진입 애로 해결 지원 주요 시장.

또한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재정적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그린 뉴딜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5 년간 (2021 ~ 2025 년) 30 조원 규모의 수출 / 주문 대출 지원, 대출 한도 연장 (최대 10 % p), 추가 금리 혜택 (중 △ 0.3, 중소 △ 0.5 % p) 제공 .

또한 프로젝트에 맞는 수출 보험을 구축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우수 고객 참여를 전제로 중장기 재정 보증 한도를 제공하고, 생산 시설 확충, 운전 자본, 수출 보증 및 보험을 확대 할 예정입니다. 수출 채권의 수익 화 지원.

그린에 대한 지원 확대를 통해 해외 투자 개발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 된 글로벌 인프라 펀드 (GIF) 7 호 (1,300 억원)를 우선 활용하여 신 남방, 신 북방 등 유망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 할 계획이다. 뉴딜 유망 프로젝트 기금.

정부는 중소기업 및 중소기업 참여도가 높은 ODA 중 그린 뉴딜 ODA 비중을 6.4 %에서 OECD 평균 (22.7 %)으로 확대하여 그린 뉴딜 개발 도상국 진출 기반을 강화 . 또한 중소기업의 후속 ODA 사업 수주시 F / S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ODA 지원 및 후속 사업 수주 연계를 확대하고, 협력 체제 또는 컨소시엄을 구축한다. 대기업, 중소기업, 금융 컨설팅 사 등 다양한 단체를 통해 해외 진출의 기회를 확산하는 정책입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방산 산업에서 주로 활용되고있는 G2G 수출 계약 (국내 기업 -KOTRA- 외국 정부) 시스템을 녹색 부문에 적용하여 국내 기업의 신뢰성 확보를 통한 수출 및 수주 가능성을 높이고있다.

특히 주요국 민간 주도의 ‘글로벌 H2 얼라이언스’설립은 공동 연구 개발 및 실증 등 다자간 수소 협력 확대, 정부 정책 권고 등을 통해 안정적인 글로벌 수소 공급망을 적극적으로 구축 할 예정이다.

동시에 미국, EU, 신 남부, 신 북부 등 주요 지역 및 국가 별 양자 협의체를 설립 · 확대하고 정부 간 녹색 파트너십 구축, 공동 연구 등을 통해 그린 뉴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유망한 기술과 기업 투자의 어려움을 해결합니다. .

한편, 디지털 뉴딜 분야에서는 2019 년 1,800 억 달러에서 2025 년까지 2,500 억 달러로 디지털 수출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이를 위해 DNA 융합 사업, 디지털 정부, 스마트 소셜 간접 자본 (SOC) 및 비 대면 산업. 맞춤형 해외 진출 지원 강화

저작권 © The Energy 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