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웍스=장진혁 기자] 2021 년 전국 4 년제 대학 경제 경영학과 교수의 평균은 2.4 %로 국내외 주요 기관보다 다소 낮았다.
한국 고용인 협회는 경제 전문가 214 명 (기준 응답자).
응답자들은 2021 년 한국 경제 성장률 (평균 2.4 %)을 국내외 주요 기관보다 보수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한국 은행 (3.0 %), KDI (3.1 %), OECD (2.8 %)와 같은 국내외 주요 기관보다 낮다.
미래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55.1 %가 ‘나이키 형 회복 (경제가 완만하게 회복)’이라고 답했다. 그 뒤를 이어 ‘L 자형 장기 불황’17.8 %, ‘V 자형 반등 (일시적인 충격 후 빠르게 회복)’13.6 %, ‘W 자형 더블 딥 (10.7 %)’이 뒤를이었다. 회복 된 경제가 다시 위축됨) ‘.
응답자들은 코로나 19 위기로 인한 경제적 충격이 IMF 금융 위기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글로벌 금융 위기보다 30 % 더 큰 감정을 느끼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 대 국회의 국회 재정 관리 입장에 대해서는 48.1 %가 ‘재정 확대가 필요하지만 미미하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균형 재정 유지 필요’22.4 %, ‘최근 트렌드보다 확대해야 함’21.5 %, ‘긴축 재정 필요’7.9 % 순으로 확인됐다.
산업 구조 조정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절반 (49.3 %)이 ‘정부가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장에 맡겨야한다’고 답했다. 경정은“기업의 부흥을 넘어 산업의 근본적인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보다는 ‘민간 주도’구조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전문가들이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 항공 산업의 경우와 같이 정부는 제한된 상황에 처한 기업이나 산업에 대해서만 구조 조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한다'(36.6 %), ‘과거 IMF 시대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선제 적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를위한 구조 조정 일부 응답자는 ‘(14.1 %)에 의해 유도되어야한다고 답했다.
반면 가장 높은 상속세율에 대해서는 ‘기업 경영의 영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감축이 필요하다’고 응답자는 55.9 %,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감축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46.0 %였다. 법인 세율이 가장 높은 경우
미국 대선 결과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59.3 %는 ‘산업별로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인 경제적 영향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긍정적 영향’은 36.0 %, ‘부정적 영향’은 4.7 %로 조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