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10 % 급등한 코스피 ‘스피드 스캔들’… “이런 주식 시장은 없다”

[이데일리 고준혁 기자] 올해 코스피가 3000을 넘어 설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이견이 거의 없다. 풍부한 유동성, 글로벌 제조업 경기 회복, 국내 기업의 안정적인 수익 전망 등 상승 할 재료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속도입니다. 연초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한 지수 부담으로 개장 가능성이 높아지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열 지표도 하나씩 나옵니다.

8 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120.50 포인트 (3.97 %) 오른 3,152.18로 장을 마감했다. 사진은 하루를 마친 서울 여의도 KB 국민 은행 딜링 룸이다. [사진=연합뉴스]

금융 위기 이후 1 월 첫째주 코스피 상승률

10 일 시장 포인트에 따르면 지난주 (4-8) 코스피는 전주 2873.47에서 278.71 포인트 (9.69 %) 오른 3152.18로 마감했다. 2008 년 10 월 27 일부터 31 일까지 18.57 % 상승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가장 높은 주당 금리입니다. 다른 나라와 비슷하지만 그 상승률은 독보적입니다. 지난주 미국 뉴욕의 상위 3 개 지수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다우 존스 지수와 S & P 500 지수는 각각 1.61 %와 1.82 % 상승했고 나스닥은 2.43 % 상승했습니다. 30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일본 니케이 225 지수도 일주일 만에 2.53 % 올랐고, 대만 각원 지수 (4.96 %), 홍콩 항셍 지수 (2.38 %), 유로 스톡 50 ( 2.6 %)는 5 %로 상승했습니다.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올해 코스피가 3000을 넘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속도면에서 그 반응은 놀랍다. 유진 투자 증권 허재환 연구원은“코스피가 3000 선을 넘을 수 없을 거라 생각하지 않았지만, 새해가 시작될 줄은 몰랐다. 성취의 시간. ”

급등의 주된 동인은 실적이 아니기 때문에 조정 가능성이 높아진다. 심리, 이슈, 수급 등으로 급격히 상승하는 코스피가 실적과 주가의 격차를 인식 한 시점부터 투자 심리와 수급의 급격한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증권 이경민 연구원은“글로벌 매크로 환경의 변화와 한국 자산 시장의 재평가로 코스피 3000 돌파구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고 말했다. 변동성을 경계해야 할 때이며 시장 반응을 확인하여 단기적으로 민첩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있는 코스피의 ‘실적 기준 눈높이’는 사상 최저 수준이다. 에프앤 가이드에 따르면 코스피의 12 개월 주가 수익률 (PER)은 7 일 초가 2890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13.37 배를 기록했다. 지난해 8 월 13 일 2437 년 전고점에 비해 KOSPI는 약 5 개월 만에 실적 개선으로 450 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그러나 P / E가 3100 선에 도달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있어 이익 전망 성장 속도가 증시 상승 속도를 따라 가지 못하고있다. 3 년 평균 PER과 비교하면 표준 편차의 2 배 이상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코스피는 역사상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버핏 지수는 IT 거품과 금융 위기만큼 트렌드를 벗어났습니다.”

몇 가지 지표는 국내 주식 시장이 과열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한국판 공포 지수 라 불리는 ‘코스피 200 변동성 (V-KOSPI200) 지수’도 급등했다. 이 지수는 KOSPI 200 옵션 가격을 이용한 KOSPI 200 지수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다음 달 주식 시장 변동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지난해 말 22.09에서 8 일 29.18로 급증했다. 지난해 10 월 1 일 (31.79)을 기록한 이후 약 3 개월 만에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

일반적으로 유 안타 증권 정 인치 연구원은“일반적으로 기초 자산 상승 과정에서 옵션의 내재 변동성을 보여주는 V-KOPSI 급등은 매우 이례적이며 과열로 평가된다. 하지만 코스피 200 지수 거래량은 지난 6 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회사가 그렇게하고 있다는 사실로 과열 국면에 있지만 상승세의 지속 가능성은 여전히 ​​우수하다”고 말했다.

또한 전통적인 과열 지표 인 ‘버핏 지수’도 높다. Warren Buffett은 한 국가의 국민 총생산 (GDP)이 모든 상장 기업의 시가 총액에 수렴 할 것이라고 가정하면서 명목 GDP를 주식 시가 총액으로 나눈 값을 주식 시장 과열의 척도로 사용했습니다. 현재 코스피 버핏 지수는 1 배를 넘어 섰다.

정용택 IBK 투자 증권 리서치 센터 장은 “코스피 버핏 지수가 1 배를 넘어서 과열을 의미한다. 사실이 절대치보다 더 중요한 것은 트렌드에서 얼마나 멀어지는가?”라고 말했다. 위치는 2 배에 불과하지만 과거 IT 버블과 금융 위기 이전에는 2 배 밖에 없었습니다.”

“금리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주장 할 수 있지만,이 비율을 시장 금리와 일치 시키면 명목 GDP에 대한 주식 시가 총액의 비율은 고려하더라도 매우 높습니다. 최근 인하 된 이자율.” 큰 격차가 있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기술 지표 인 상대 강도 지수 (RSI)는 8 일 현재 84.686을 기록하며 과열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70 이상의 과매 수 기간은 아래 30을 과매 수 기간으로 간주합니다.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