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명품 세’의 격차 확대를위한 규정 개정
(자카르타 = 연합 뉴스) 성혜미 기자 = 인도네시아에 완성차 공장을 짓고있는 현대 자동차가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해 ‘숙제’를 풀었다.
인도네시아 경제 조정부는 현대에 관심이있는 도요타, 전기차 등 일본 기업이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개인 소비세 (명품 세) 차액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 규정을 개정했다.

[현대차 인도네시아법인 제공=연합뉴스]
12 일 인도네시아 경제 조정 부가 발표 한 보도 자료에 따르면 전기차 (B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하이브리드 (HEV)에 대한 개별 소비세 규정은 오는 10 월부터 시행 될 예정이다. 년이 변경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에 대한 개별 소비세가 판매 가격의 0 %와 같았고 하이브리드의 경우 변위에 따라 2-8 %였습니다.
그러나 격차는 각각 0 %, 5 %, 6-8 %로 증가했고, 전기 자동차가 실제로 생산 될 때 격차는 0 %, 8 %, 10-12 %로 변경되었습니다.
하이브리드는 내연 기관과 전기 자동차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 한 차량으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의 중간 단계로 볼 수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움직임으로 현대 자동차가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 보도자료 캡처]
현대 자동차가 올해 말 자카르타 외곽 베카시에 완성차 공장을 완공하면 내연 기관차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진출 이후 현대 자동차는 지방 자치 단체의 적극적인 요청에 따라 전기차 생산 계획을 ‘장군’하고있다.
인도네시아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전기 자동차 배터리 소재 생산 업체로서 2030 년 ‘전기 자동차 산업 허브’를 목표로 전기 자동차 및 배터리 사업의 발전을 사방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대 자동차는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와 개인 소비세의 차이가 전제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지자체가 수정을 요청했고 대사관도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현대자동차 제공=연합뉴스]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에서는 도요타, 다이하츠, 혼다, 미쓰비시, 스즈키 등 일본 자동차 5 개사가 85 %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를 먼저 생산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의 개정안은 하이브리드뿐만 아니라 ‘실제 전기 자동차’산업의 리더가 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앞으로 현대 자동차가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의 ‘국산화율’조건을 충족시키는 등 숙제가 남아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전기차 개별 소비 세율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지 생산을 인정해야하지만이를 위해서는 조립 생산에 비해 충족해야 할 조건이 어렵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을 장악해온 일본 기업들도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021/02/12 11:45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