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후 일본 나리타 국제 공항에 입국 한 그는 기자에게 자신의 생각과 앞으로의 움직임을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사 임명에 대해 그는 “한일 우호 협력과 관계를 증진하기위한 목적이라고 생각한다. 한일 우호 협력을 증진하고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한일 관계 정상화를 위해. ” 말했다.
강 대사는 일본 측이 위안부 피해자 배상 판결에 크게 반대하며 한일 관계가 악화됐다고 말했다. “사건별로 논의 할 내용을 논의하고, 협상 할 내용을 협상하고,해야 할 일에 협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이에 따라 대응하고 판단 할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서울 중앙 지방 법원은 8 일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12 명에게 1 억원을 지급하고, 일본 정부가 주권 면제 (일국 법원이 다른 나라를 당사자로 판단 할 수없는 관습 국제법)를 위반했다고 8 일 판결했다. 소송). 그들은 그것에 반항하고 있습니다.
강 대사는 2015 년 한일 협정에서 일본 정부가 10 억엔 (약 106 억 원)을 지불하고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성을 회복하기 위해 양국이 협력한다는 조건을 밝혔다. 논의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표명했습니다.
그는 일본 정부의 기부금으로 투자 한 화해 치유 재단이 해산 된 후 남은 자금에 대해 언급하며 “자금을 합쳐서 펀드를 만드는 문제에 대해 양국이 이야기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또한 한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어 기지 않았으며 회장과 이사들이 자발적으로 사임하면서 재단이 해체되었다고 설명했다.
강 대사는 일본의 코로나 19 검역 기준에 따라 2 주간 대사관 관저에서 검역을 한 뒤 천황에게 자격증을 제정 (제출)하고, 스가 요시히 데 총리와 모테 기 토시 미츠 외무 장관과의 만남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강 대사는 ‘황제’대신 ‘황제 폐하’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자격 증명 제출을 설명했다. 또한 일본 자유 민주당 대표 니카이 토시히로, 한일 의사 협회장 누 카가 후쿠시로, 한일 의사 협회 사무 총장 가와 무라 타케 오도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강대 사는 자격증을 제출 한 뒤 본격적인 외교 활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 대사는 “문재인 정부는 한일 관계 정상화를 굳건히 결심하고있다”며 “우리는 그런 메시지를 일본 측에 잘 전달하려고 노력하고있다”고 말했다.
[도쿄 = 김규식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