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 5G 로봇, 전주 대기 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천지 일보

전주 전주 방송 공원 앞에 설치된 역에 5G 자율 로봇이 무인 순찰을 시작한다.  (제공 : LG 유 플러스) ⓒ 천지 일보 2021.4.4
전주 전주 방송 공원 앞에 설치된 역에 5G 자율 로봇이 무인 순찰을 시작한다. (제공 : LG 유 플러스) ⓒ 천지 일보 2021.4.4

[천지일보=손지아 기자] LG 유 플러스는 5G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자율 주행 로봇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주 대기 환경을 관리하고 있다고 4 일 밝혔다.

이에 앞서 LG 유 플러스는 지난해 9 월 전주시와 업무 협약을 체결 한 뒤 24 시간 대기 질 측정과 오염 물질 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자율 주행 로봇을 도입하기로했다. 자율 로봇 6 대와 고정형 대기 탐지기 20 대가 전주시 팔복동 산업 단지, 만성 지구, 혁신 도시 등 주거 지역에 투입됐다.

인공 지능을 탑재 해 전주를 자율 주행하는 ‘환경 관리 로봇’은 약 1km의 코스를 자율 주행하면서 실시간으로 대기 정보를 수집하고 무인 순찰 중 획득 한 환경 정보를 5G 망으로 빠르게 전송 · 분석한다. 툴 스페이스와 함께 생산 된 환경 관리 로봇은 5G 네트워크를 통해 광주 MEC 센터에 대기 정보를 전달한다. 초고속, 초저 지연의 5G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가 필요한 긴급 상황에서도 원활하게 연결되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5G 네트워크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광주 MEC (Mobile Edge Computing) 센터에는 통합 관제 운영 서버와 로봇 관제, 에이전시 시스템, 영상 관제, AI 분석 서버가 ​​운영되고있다. MEC를 통해 LTE에서 30 ~ 40ms의 지연 시간을 한 자릿수로 줄일 수 있습니다. 광주 MEC 센터에서 처리 된 데이터는 전용선을 통해 전주 관제 센터로 전송되며, 비상시 관제 센터에서 로봇 제어 명령을 내릴 수있다.

환경 관리 로봇이 대기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물질은 ▲ 미세 먼지 (PM2.5) ▲ 초 미세 먼지 (PM10) ▲ 일산화탄소 (CO) ▲ 이산화질소 (NO2) ▲ 이산화황 (SO2) ▲ 황화수소 ( H2S) ▲ 암모니아 (NH3) ▲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입니다. 이를 통해 대기에 포함 된 이러한 물질의 농도를 파악하고 황사 등 봄철 공기질 문제를 유발하는 현상뿐만 아니라 악취 발생 시점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환경 관리 로봇의 각 순찰은 약 30 분이 소요되며, 순찰은 매일 오전 9 시부 터 오후 6 시까 지 진행됩니다.

LG 유 플러스는 2019 년 4 월 3 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5G 특화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B2C 분야의 5G 생태계 성장을 위해 글로벌 통신사들과의 콘텐츠 제휴 인 ‘XR Alliance’를 출범시켰다. 5G 상용화 2 년차 인 올해부터 지방 자치 단체의 ESG 도입 확대에 따라 다양한 혁신 모델이 등장 할 전망이다. 이에 환경 관리 로봇 등 B2B 분야에서 5G 활용 사례를 늘려 산업 전 분야의 디지털 변혁을 주도 할 계획이다. .

서재용 LG 유 플러스 스마트 인프라 사업부 장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2 년 동안 5G가 산업 및 공공 부문의 발전을 촉진하는 B2B 및 B2G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 해왔다”고 말했다. 그는“확장 된 5G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국내외 파트너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천지 일보-새시대 희망의 보도 자료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