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은 제쳐두고 연구 만 … 한국은 우주에 갈 수 없다

◆ 55 주년 전국 리포트 컨퍼런스 ◆

1 월 미국의 혁신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자산 운용사 ARK Invest는 항공 우주 분야의 혁신 기업 (ARKX (ARK Space Exploration ETF))에 투자하는 신규 상장 지수 펀드 (ETF)를 미국 증권에 제출했습니다. 및 교환위원회 (SEC). 했다. 아크 인베스트는 세계 1 위 전기 자동차 테슬라, 핀 테크 유망 스퀘어, 원격 의료 기업 텔라도 크 등 혁신 기업을 발굴 해 지난해 ARKK, ARKG, ARKW 등 인기 ETF 상품을 출시 한 자산 운용사 다. 연간 수익률은 40 ~ 50 %로 ‘대박’을 기록했습니다. 아크 인베스트는 ARKX 상장 계획에서 “재활용 로켓, 위성, 드론을 제조하는 항공 우주 관련 기업이 신성장 동력을 창출 할 수 있다고 믿고있다”며 “관련 기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Arc Invest의 우주 ETF는 3 월 말에 출시 될 예정입니다.

새로운 우주 시대에 민간 기업은 우주에서 비즈니스를 창출합니다. 한국 과학 기술 기획 평가원 (KISTEP) 안형준 부 연구원은 “기존 우주 산업과는 달리 중소기업과 저자 본 민간 우주 기업의 등장으로 나타난 생태계 변화는 New Space라고합니다. ” 과거와 달리 새로운 우주 시대에는 새로운 민간 투자 파트너와 혁신 기업이 등장합니다.”

미국 항공 우주국 (NASA), 유럽 우주국 (ESA), 일본 항공 우주 개발기구 (JAXA)와 같은 정부 기관이 주도하는 우주 개발 시대 인 New Space 이전의 우주 개발은 New Space와 대조되는 용어. 때로는 ‘오래된 공간’이라고도합니다.

정부가 우주 개발을 주도하게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막대한 비용 때문이었습니다. 비용이 내려 가면서 공간을 활용하려는 민간 기업이 급히 나타났다.

▶ 크게 보려면 여기를 클릭

시장도 반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우주 투자 기업인 US Space Angels의 분석에 따르면 2009 년부터 2020 년 3 분기까지 총 1,660 억 달러 (약 199 조원)의 민간 투자가 1128 개의 우주 기업에 이루어졌다.

한국도 새로운 공간에 걸 맞는 움직임을 보이고있다. 한화는 지난 1 월 위성 기업 세트 렉 아이에 1,900 억원을 투자했을뿐만 아니라 발사체, 인공위성 등 우주 개발을 관장하는 ‘스페이스 허브’도 출범했다. 올해 국내 증권 거래소에 상장 된 AP 위성, 한국 항공 우주 산업 (KAI) 등 7 개 우주 관련 기업의 주가는 지난해 8 월부터 올해 2 월까지 평균 70 % 상승했다. Innospace 및 Periji Aerospace와 같은 일부 벤처 회사도 작은 로켓을 우주로 발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우주 생태계에는 아직 뉴스 페이스 시대라고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 로켓과 위성 개발은 여전히 ​​정부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기업이 연구 개발 (R & D), 조립, 부품 개발에 참여하지만 정부 예산 없이는 수익을 내지 못하는 구조 다. 한화를 제외하고 우주 개발에 뛰어든 대기업은 없다.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 황진영 선임 연구원은“미국은 자동차, 스마트 폰 등 민간이 자본으로 시장을 창출하는 새로운 우주 시대를 맞이한 유일한 나라 다. “강조하면 생태계 자체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과학 기술계에서 ‘오래된 공간’에 머물고있는 우리나라 우주 산업은 도약을위한 중간 단계 인 ‘중간 공간’진입 전략이 필요하다고한다.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 박정주 부사장은 “정부가 생태계를 적극 홍보하고 민간 참여를 유도하여 시장을 성장시켜야한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민간 생태계를 강화하고 발전시킨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입니다. SpaceX가 재활용 로켓 테스트에 실패했을 때 NASA는 자립을 돕기 위해 연구 자금과 기술을 제공했습니다. 스페이스 엑스는 2002 년 창립 후 10 년 만에 10 억 달러 (약 1 조 3 천억원)의 수입을 올렸는데,이 중 절반은 NASA가 부담했다. 스페이스 엑스 (SpaceX)의 일론 머스크 대표는 2012 년 국제 우주 정거장에 우주선을 보내는 데 성공한 후 “NASA의 도움 없이는이 정도까지 갈 수 없었다”고 말했다. 카이스트 탁민제 명예 교수는 “시간이 정부의 우주 개발 예산을 기존의 R & D 프로젝트에서 기업이 필요한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인수 사업’으로 바꾸려고합니다. 이제부터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

[특별취재팀 = 이진우 부국장 / 이새봄 팀장 / 원호섭 기자 / 안갑성 기자 / 김희래 기자 / 이상은 MBN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