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인생의 끝도 보지 못했습니다. 범죄자는 없습니다.”

환자 본인의 결정이나 가족의 동의로 연명 치료를받지 못하도록하는 이른바 ‘존엄 사법법’이 시행 된 지 3 년이 지났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코로나가 마지막 시간을 얼마나 잘 보내는 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격리 문제로 가족의 사망자가 제대로 보관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김민표 기자가 보도했다.

<기자>

[(평생 못한 얘기 다시 한 번 해보세요.) 사랑하고 고마웠어요.]

코로나에서 이계황의 존엄성

말기 암 환자 이계황은 아내에게 그가 죽기 전에 마음 속에 품고 있던 것을 이야기했다.

이 영상을 촬영 한 지 일주일 만에 이씨는 편안하게 눈을 감았 다.

[이상아/고 이계황 씨 딸 : 자식들 잘 키워주신 거, 그게 너무 감사하죠.]

죽기 한 달 전에이 씨는 죽음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기로 결심했고, 생명 유지 치료 대신 남은 시간 동안 가족과 소중한 추억을 남겼습니다.

[이상아/고 이계황 씨 딸 : 눈물 나고 슬플 때도 많지만 그래도 ‘잘 모셨구나. 아버지가 좋은 곳에 가셨구나’라는 생각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죽지도 못하는 가족이 많다.

[김채리/고 김용식 씨 딸 : 아빠 잘 지내지? 못 가서 미안해. 아빠 보러 가고 싶었는데….]

요양 병원에서 자신이 비판적이라는 전화를 받고 도망 쳤지 만 아버지는 이미 돌아가 셨다.

그가 죽기 며칠 전, 화상 통화는 여성과 여성의 마지막 대화가되었습니다.

[(아빠 할 말이 있어. 빨리 와, 지금 네가 와.) 아빠, 갈게. 근데 지금 코로나라서 갈 수가 없어. 내가 어떻게든지 얘기해서 가볼게.]

[아직도 머릿속에 매일같이 그 말은 잊히지 않아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제대로 방문하지 못했고, 마지막 순간까지 작별 인사도 할 수 없었습니다.

[김채리/고 김용식 씨 딸 : 임종도 못 보고 진짜 고려장 시킨 것밖에 안 돼요. 이건 진짜 죄인이 따로 없네요.]

의학적 의향 유지 상담사 김은주도 아버지의 죽음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픕니다.

여성과 여성 모두 사전 의학적 의도를 적고 위엄있는 죽음을 준비했지만 현실은 달랐다.

병원에는 임종 실이 없어서 아버지를 6 인실 상태로 보내야했고 간호사 치료실로 옮겨야했다.

[김은주/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 : 아버지를 병원 복도에서 보낼 수밖에 없는 현실, 그건 제가 벗어버릴 수 없는 죄책감의 짐이죠.]

한국 사망자의 75 % 이상이 병원입니다.

코로나에서 이계황의 존엄성

그러나 병원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방문을 제한하거나 금지했기 때문에 사망 당시 가족과 마지막 인사조차도 나누지 못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허대석/전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 마지막에 두서너 달이라는 것은 굉장히 귀한 시간인데, 그걸 놓쳐버려요. 돌아가시고 난 다음에는 유족들이 후회하는 거죠.]

820,000 명 이상이 존엄 법 시행 후 3 년 동안 단순히 수명을 늘리는 생명 유지 치료를받지 않겠다고 미리 약속했습니다.

존엄성의 역사는 생명 유지 관리를 중단하는 것만이 아닙니다.

코로나 시대의 죽음의 현실은 마지막 순간까지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가족과 의미있는 작별을 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려줍니다.

(VJ : 안민 신)

▶ 13 일 오전 8시 ‘뉴스 스토리’ <코로나 시대와 존엄사>자세한 내용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