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토지 주택 공사 (LH) 직원들의 계획된 도시 개발에 대한 투기 적 토지 거래가 논란이되면서 현재 상황을 풍자하는 패러디가 확산되고있다.
12 일 ‘LH’와 ‘마이’의 유사성에 주목하며 12 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풍자와 조롱의 패러디가 쏟아지고있다. 이 게시물은 LH를 유명 TV 쇼, 아동 도서 및 유행어에 합성하여 제작되었습니다.
한 네티즌은 동화책 ‘All is mine’의 제목을 수정하고 ‘All LH’로 변경 한 이미지를 올렸다. LH는 ‘my’라는 글자와 비슷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 다른 네티즌은 “LH가 개발 될 토지가 민영화 되었기 때문에”LH 토지 주택 공사 “로 읽어 보자”며 현재 상황을 비판했다.
LH의 로고와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를 합성 한 ‘LH 혼자 사는’사진도 있었다. 이는 내부 정보를 활용 한 LH 직원들이 신도시의 토지만을 혼자서 구입한다는 의미입니다.
정치와 부패를 다룬 영화 ‘내부자’, ‘LH 부자’패러디, 보드 게임 ‘부루 마블’의 포스터는 광명시, 시흥시, 과천시 등 신도시로 지정된 지역으로 변신 경기도. 게임 ‘LH 마블’의 사진도 등장했다. 영문 강의 CF 장면 ‘Hey You Do?’패러디 ‘LH Morning Viewing Time Landscape Nowadays’라는 기사에서 그는 ‘너도 그래?

밀레의 작품 ‘채집’에서는 묘목을 합성하고 ‘묘목 따기’로 변경 한 패러디 사진도 네티즌들로부터 많은 공감을 받았다. 더 많은 보상을 얻기 위해 토지 투기 의심과 묘목 심는 LH 직원들의 풍자 다.
영화의 한 장면을 포착하여 제작 한 패러디도 있었다. 여자가 “그는 차와 집이 있어요. 당신?”이라고 물으면 남자는 “나는 LH에 간다.”라고 대답한다. 그 후 두 사람은 스킨쉽을 공유합니다.
또한 ‘LH로 남불 (타인이 노후 준비를하면 LH는 위법)’, ‘LH 랜드, LH 산 (LH 랜드, LH 생명)’등의 용어가 속속 등장하고있다.
익명의 직장인 커뮤니티의 블라인드에서 투표를 LH에 참석하는 직장인과 비교하는 기사가 게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LH 사원 vs. 강남 3 층 쇼핑몰 주인’, ‘LH 사원 vs. 의사’, ‘LH 사원 vs. 현대 자동차 연봉 1 억. 대부분의 투표 결과는 LH가 8 대 1로 압도적 인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저도 LH를 신청할 거라고 생각 했어요’, ‘저도 LH에 가지 않았어요’등 직장인의 불만 글도 많았습니다. 한 회사원은“저는 대기업에서 근무하는 6 살인데 저의 능력이 인정 받고 있습니다. LH에 입사 할 수 있을까요?”라고 말했다.
이 패러디가 인터넷에 퍼지자 네티즌들은 “놀라운 풍자가 많다. 공감한다”, “재밌지 만 쓴맛”, “이걸 보면 LH 직원들이 어떻게 생각 할까?”

[김승한 매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