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0 12:00 입력 | 고침 2021-03-10 12:00

금융 당국은 최근 코로나 19 대출에 대한 대출 만기 및이자 상환 연기를 확대 해 국내 은행의 연체율을 최저점으로 끌어 올렸다.
그러나 1 월 말 원화 대출 연체율은 1 월 말 0.31 %로 전월 (0.28 %)보다 0.04 % p 상승했다. 이는 기업 및 가계 대출이 나란히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금융 당국의 성숙기 연장 기반이 단 한 달 만에 약화 됐다는 비판이있다.
금융 감독원이 10 일 발표 한 1 월말 한국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에 따르면 1 개월 이상 원금 연체액은 0.31 %였다.
1 월 신규 연체 금액은 1 조 3 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4000 억원 증가했다. 반면 연체 채권은 전월 대비 1 조 6000 억원 감소한 5 천억원에 불과했다.
차입자별로 보면 기업 대출 연체율은 0.39 %로 전월 (0.34 %)에 비해 가장 많이 증가했다.
특히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36 %로 전월 말 0.27 %에서 0.09 % p 상승했다.
이에 금융 감독원은 “쌍용 자동차의 회생 절차 신청으로 연체 채권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40 %로 전월 말 대비 0.05 % p 상승했으며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소폭 상승 해 각각 0.54 %, 0.24 %를 기록했다.
가계 대출 연체율도 상승세를 보였다. 전월말 대비 0.01 % p 상승한 0.21 %. 주택 담보 대출 연체율은 전월말과 비슷했으며, 주 담보를 제외한 신용 대출 연체율은 0.37 %로 전월 대비 0.04 % p 상승했다.
국내 은행의 연체율은 여전히 낮지 만이 건전성 지표가 ‘광학적 효과’라는 것이 금융권의 공통점이다. 저금리로 대출 총액이 증가한 반면,이자 상환 유예로 인해 원리금 연체가 발생하는 현상이었다.
따라서이자 유예 조치가 완료되면 건전성 지표가 악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있다. 또한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연체율이 상승 할 가능성은 적지 않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 당국이 대출 부실 우려에도 불구하고 만기 연장과이자 연기를했지만 연체율이 1 개월 만에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말했다.
보도 자료 및 기사 보도 [email protected]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New Daily News-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추천
관련 기사 방금 본 기사로 읽는 것이 좋습니다!
생생한
주요 뉴스 이때 주요 뉴스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