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직원, 사장, 의원이 농부가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농지 열정 시대

광명 · 시흥 신도시 계획 부지에서 한국 토지 주택 공사 (LH) 직원들이 매입 한 토지의 대부분이 농지로 밝혀지면서 투기 용으로 사용 된 토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있다. 전문가들은 농사를 짓지 않는 농지 매입이 편한 투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한다고 주장하고있다.

경자 유전 농지 열정 기

9 일 기획 재정부와 농림 수산 식품부에 따르면 현행 농지법 제 6 조 1 항에 따라 농지를하지 않으면 농지를 살 수 없다. 그러나 농지 관리 나 규제가 느슨하기 때문에 농사 짓는 척해도 농사를 짓지 않거나 소유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국 토지 주택 공사 직원들이 구입 한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위치한 농지 전경.  뉴스 1

한국 토지 주택 공사 직원들이 구입 한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위치한 농지 전경. 뉴스 1

농지를 매입 할 때는 지방 자치 단체에 농업 관리 계획서를 제출하지만 계획 일 뿐이므로 진위를 확인할 필요는 없다고 토지 거래를 주로 중개하는 부동산 중개인 A 씨는 말했다. 하지만 농작물을 심기 위해 땅이 잠시 놀림을 받고 있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과거에 엄격했던 불법 농지 취득 제한이 완화 된 것도 문제 다. 원래 농사를하지 않고 토지를 불법적으로 사면 소유권이 박탈당했습니다. 그러나 1994 년 현행 농지법이 개정 · 통합되면서 농사를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6 개월 이내에 소유권을 인정하고 재판매 할 수 있도록 규제가 약화되었다. 단순한 묘목이거나 농작물을 심어도 농사로 간주되기 때문에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한 조경 회사 관계자는“보상을 위해 농지를 사는 사람들은 보통 잡초가 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땅에 플라스틱을 깔고 묘목을 심으면 관리없이 농사처럼 보이게 할 수있다. 볼 수는 있지만 현행 농지 법상 처벌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LH 직원은 농지법에 따라 처벌받지 않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매입 한 경상남도 양산시 허 북면의 시누이 터와 2 층집 (빨간색 선).  토지의 약 절반이 농지입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매입 한 경상남도 양산시 허 북면의 시누이 터와 2 층집 (빨간색 선). 토지의 약 절반이 농지입니다. [연합뉴스]

농지 관리 부실로 농지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논란이 많다. LH 직원뿐만 아니라 문재인 대통령도 시누이 부지로 농지를 매입 해 ‘농사 11 년 경력’이라고 설명해 문제가됐다. 당시 청와대 측은“사실 김정석 여사가 비료를주고 재배했다”고 설명했지만 논란이 커졌다.

대통령뿐만 아니라 국회의원과 고위 공무원들도 농지 소유 비율이 높아 여러 차례 비난을 받아왔다. 21 대 국회의원의 농지 소유에 대한 경제 정의 실천 시민 연맹 (Citizens ‘Alliance for Economic Justice Practices)의 철저한 조사 결과, 국회의원의 25.3 % (300 명) 또는 76 명 (포함 배우자), 자신의 농지.

규모로는 40ha, 소유 가치는 13.361,394,000 원에 달했다. 이는 한 사람이 평균 0.52ha를 소유하고 있음을 의미하지만, 한국 농가의 48 %가 0.5ha 미만의 농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소규모가 아니다. 또한 고위 공무원 (1862)의 38.6 % (719 명)가 농지를 소유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 경제 정책국 오세형 팀장은“정책 입안자들이 실제로 농사를하지 않고 불필요하게 농지를 가졌다면 고의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토지 투기에 활용할 수있다”고 지적했다.

농지는 예비 개발지로 변신

농지는 농업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농지의 가격은 다른 토지보다 저렴합니다. 하지만 광명과 시흥의 신도시의 경우처럼 언제든 개발 지역으로 편입 될 수있어 ‘아는 사람이 아는 투자처’가된다.

농지 소유가 8 년을 넘으면 임대료를 지급 할 수있어 개발 이익을 목표로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한국 농촌 경제 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5 년 기준 총 경작 면적 168 만 헥타르의 56 %만이 농민 (94 백만 헥타르) 소유였다.

사 동천 홍익 대학교 법학과 교수는“농지 관리가 엄격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실상 예비 개발지로 축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 김남준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