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검찰의 힘 분리, 꾸준히가는 방향”

윤석열 사임 후 첫 공식 입장 … 아직도 ‘개혁’에 집중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사임 한 이유는 중범 죄수 사소 설치에 반대하여 검찰의 수사권을 모두 박탈하고 기소권 만 남겼 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오늘 (8 일) 문재인 대통령이 윤의 탈퇴 이후 처음으로 전력 기관 개혁을 위해 관계 부처 장관과 만남을 가졌다. 첫째, 문 대통령은 수사권과 기소권 분리 원칙을 재확인했지만 방법론에 신중했다.

박민규입니다.

[기자]

[검찰은 우리 사회정의 실현의 중추입니다. ]

문재인 대통령은 권력 기관 개혁에 대한보고를 받고 검찰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러나 결론은 검찰이이 역할을 수행 할만큼 충분히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 었습니다.

[검찰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검찰개혁은 검찰이 스스로 개혁에 앞장서야만 성공할 수 있습니다.]

검찰의 공식 입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사임 이후 처음으로 나온 것이지만 여전히 개혁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윤 전 대통령은 이의를 제기했으며 사직 사유로 ‘중범 죄수 사소’설치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기소권과 수사권의 분리가 계속되는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수사권과 기소권이 완전히 분리되기 위해서는 검찰이 남긴 마지막 6 건의 범죄 수사도 중범 죄수 사실로 넘겨 져야한다.

하지만이 과정에서 다시 한번 신중함을 강조했습니다.

[입법의 과정에서 검찰 구성원들을 포함한 다양한 의견 수렴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절차에 따라 질서 있게, 그리고 또 이미 이뤄진 개혁의 안착까지 고려해 가면서…]

한때 청와대와 여당이이 신중함에 차이를 만들었다.

문 대통령은 자신이 속도 통제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고 여당은 당의 강경 주장 직후 중수소 설치 법안을 제안하려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의 대중 반대와 임박한 보궐 선거로 법안 제안이 연기되고있다.

[박범계/법무부 장관 : 수사·기소 분리 방안과 관련하여 국민이 공감하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겠습니다.]

이 가운데 문 대통령은 경찰에 “권한이 주어지면 능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라”고 경찰에 촉구했다.

(영상 디자인 : 신재훈)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