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범죄의 무지”vs. “비난이 아닌 논란”

Harvard University에서 Ramsay의 논문을 둘러싼 국내외 논란
“성적 착취 시스템 정당화”vs. “학술적 공격은 역 효과적”
일본 언론, 램지 교수 논문에 “일본 이미지 회복 기대”


John Mark Ramseyer, Harvard Law School 교수 (오른쪽) / 사진 = Harvard Law School Public Video Capture

[아시아경제 임주형 기자] 하버드 대학의 존 마크 램지 교수가 일본군 위안부 희생자들을 매춘부로 쓴 논문을 발표하면서이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있다. 일부는 논문이 “성 노예와 성 착취 제도를 정당화 할 수있다”며 출판 철회를 촉구했지만 “학문의 자유 존중”을 옹호하는 목소리가있다.

램지 교수의 논문은 3 월에 발간 될 예정인 국제법과 경제 검토에 게재 될 예정이다. 이 논문에서 Ramsey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들이 강제없이 자발적으로 모인 매춘의 연장선에 가까웠다 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문의 내용에 대해 국내외에서 비판이 쏟아지고있다. 역사적 진실에 맞지 않을뿐만 아니라 일제주의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해석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있다.

앞서 17 일 사이버 외교단 ‘뱅크’는 램지 교수가 속한 하버드 대에 항의 이메일을 보냈다. 이에 박기태 원장은“연구의 자유 속에 숨어 선생의 양심과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며“일제의 잔인 함을 미국 사회에 알리는 사명감이있다”고 말했다. 나치 전쟁 범죄만큼이나 역사의 왜곡. “


사이버 외교 사절단 인 Vank는“위안부는 매춘부 ”라는 주장을 담은 논문을 발표 할 예정인 하버드 대학교 법학 교수 인 Mark Ramsayer에게 항의하는 이메일을 보냈다. / 사진 = Vank

그는 “서구가 여전히 일본 제국의 성 윤리와 노예 범죄에 대한 무지를 보여주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나치는 인류 평화에 기여했고 흑인 노예 제도가 미국 발전에 기여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학계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정의와 기억 연대는 이날 열린 정기 수요 시위에서 ‘존 마크 램 지어 교수의 일본군 위안부 논문에 대한 세계적인 페미니스트 성명’을 공개했다.

미국 · 필리핀 · 영국 · 호주 · 뉴질랜드 · 독일 · 캐나다 등 각국의 연구자 · 단체가 참여한 성명에서“람 지에 교수의 주장은 일본 정부의 주장과 모순된다. 그는 아시아 태평양 전쟁에서 자행 된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우리는 비판적인 분석없이 따르고있다”며 “이러한 주장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성 노예 및 성 착취 시스템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있다”고 비판했다.

반면에 일부 목소리는 학문의 자유가 존중되어야한다고 램지 교수의 논문 출판을 옹호했다. “우리는 한국에 기반을 둔 학자입니다.”램지에 교수가 18 일 연세대 학교 언더우드 국제 대학교 부교수 조 필립스와 한양 대학교 정치 외교 부교수 이조 셉의 글에 최근 글을 올렸다. 논문을 비판하지 않고 토론 할 수 있습니다. “

“일본과의 개인적 관계 때문에 Ramsey의 학문적 성실성을 공격하는 것은 비생산적이고 외국인 혐오입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위안부와 관련된 연구와 토론이 제한되고 정치와 사회에 대한 집단적 사고가 촉진되었습니다.” 지적했다.


서울 종로구 구 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 소녀상 / 사진 = 연합 뉴스

과거 위안부 피해자를위한 ‘자발성 매춘부’라는 책을 발간 한 세종대 박유하 교수도 램지 교수의 논문에 대해“무조건적인 발언도 아니다. 전직 기업 교수. Jie) 교수의 주장은 역사적 세부 사항에서 그다지 잘못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

램지 교수의 논문에 대한 국내외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일부 일본 언론은이 논문이 일본의 국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8 일 언론인 ‘닛케이 신문’은 램지 교수의 논문 요약을 공개하며 위안부는 성 노예가 아니라고 밝히며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일본군이 한국 여성을 성 노예로 삼 았던 잘못된 이미지가 전 세계에 퍼지고있다”고 말했다. “이 논문이 그런 이미지를 복원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임 주형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