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유소 수만큼 전기차 급속 충전기 공급

환경부, 올해 2,800 대 유통, 누적 12,000 대

전기차, 수소 차 등 무공해 차량 공급 시스템 구축

차등 전기차 보조금, 9,000 만원 초과 벤츠 EQC 등

제주 도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
제주 도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

[지앤이타임즈 정상필 기자]올해 전국 주유소 수만큼 전기 자동차 용 급속 충전기가 보급 될 예정이다.

전기 자동차, 수소 자동차 등 무공해 인 공급을위한 목표 체계도 마련한다.

환경부는 오는 2021 년 국정 조정 검사 회의에서 2021 년 무공해 차량 공급을위한 혁신 계획을 상정하고 연말까지 무공해 차량 30 만대를 누적 공급한다고 밝혔다. 18 일.

‘무공해 차량’은 공기 보전법에 의거 한 ‘일류 저공해 차량’으로 전기차와 수소 차가 포함된다.

2 대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3 대의 LPG 및 가솔린 자동차가 있으며 무공해 자동차가 아닙니다.

자동차 제조사와 판매자가 더 많은 전기차와 수소 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공해 차량 공급 목표를 올해 18 %, 내년 20 %로 확대 할 예정이다. 이루다.

유통 대상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기업에 기여금을 부과하고 이월 및 거래 실적을 달성하는 등 대기 질 보전법을 개정 · 시행하기로했다.

무공해 상용차 공급 확대를 위해 전기 택시에 차량 당 200 만원의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차고 및 교대 근무에 급속 충전기를 설치한다.

화물차 및 버스 부문의 무공해 상용차 공급 확대를 위해 차종별 개발 기간과 연계하여 단계별로 보조금을 조성 할 예정이다.

◇ 2023 년 공공 부문 무공해 차량 100 % 의무 구매

올해부터 행정 및 공공 기관 신차의 80 % 이상을 무공해 차량으로 구입하여 임대해야합니다.

또한 2023 년부터는 무공해 차량 비율이 100 %로 증가 할 것입니다.

민간 기업이 ‘한국형 무공해 자동차 전환 100 (K-EV100)’추진을 통해 무공해 자동차로 전환 할 경우 구매 보조금 및 충전 인프라 설치를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K-EV100’은 기업이 2030 년까지 보유 · 임대 차량 100 %를 전기 · 수소 차로 전환하겠다고 공표하는 캠페인이다.

고성능 무공해 차량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보조금 산정시 연 비율을 50 %에서 60 %로 높이고, 저온 우수 차량에 최대 50 만원의 에너지 효율 혜택을 제공합니다. 상온 대비 주행 거리.

무공해 차량의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인기 차량을 육성하기 위해 보조금 기준을 가격별로 차등화하고 있습니다.

차량 가격이 6 천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전액 지원하고, 6 천만원 미만인 경우 지원금의 50 %, 9 천만원 이상은 제외한다.

이에 따라 Mercedes EQC, Audi e-tron, Jaguar I-PACE는 정부 보조금에서 제외됩니다.

저가 차량으로 인한 시장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버스 및 전기 오토바이에 대한 최소 자기 부담금도 설정되어 있습니다.

대형 전기 버스는 1 억원, 경차는 75 만원, 소형 버스는 115 만원, 대형 버스는 130 만원이다.

반면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충전 수요가 많은 고속도로, 주유소 등 이동 기지에 2,800 개 이상 초고속 123 개가 설치됐다.

이에 환경부 대기 미래 전략 관계자는“올해 전기차 충전기 누적 수량은 전 주유소와 비슷한 1 만 2000대로 늘어날 것 ”이라고 말했다.

공공 중심 급속 충전 시장을 민간 이니셔티브로 전환하기 위해 상반기 단계적 전환 계획을 마련하고, 신형 복합 시설 (메가 스테이션)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있다. 민간 투자 유형이 추진됩니다.

‘메가 스테이션’은 대규모 전기 · 수소 차 충전 시설과 미래 차 관련 체험, 홍보 시설이 결합 된 복합 시설이다.

저속 충전기도 사람들의 생활 기반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주거, 직장 등 생활 주변의 주차 여건과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가로등, 콘센트 등 맞춤형 충전기를 3 만개 이상 확대 할 계획이다.

수소 차의 경우 수요 예측과 교통량을 고려하여 전국적인 보급 계획을 수립하고, 차량에 비해 충전소가 부족한 수도권에 올해까지 50 개 이상의 수소 충전소를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녹색 벨트 및 도시 공원 입지 규제 개선과 인허가 지연 해소를 위해 현재의 기본 지자체에서 환경부로 인허가 안건을 일시적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그린 에너지 · 환경 뉴스 채널 G & E Time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