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쿠팡 국적 논란은 무의미하다

일본의 불매 운동이 시작된 2019 년 쿠팡은 대주주가 손 정업 소프트 뱅크 회장 이었기 때문에 일본 기업으로 패배했다. 2 년 후인 2021 년 쿠 팡이 미국 증시 상장을 택했을 때 이번에는 미국 기업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한국에서 돈을 벌고 미국으로 갔다는 이유로 ‘한국 통과’혐의가 쏟아졌다.

쿠팡의 국적 논란은 상장 계획을 통해 공개 된 이사회 지분 현황에 불을 켰다. 상장 된 쿠팡의 모회사가 미국에 본사를두고 있고 김범석 회장을 비롯한 많은 임원들이 미국인으로 확인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본은 모두 외국 자본이라고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외국 자본을 바탕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었다. 또한 쿠팡의 예상 기업 가치가 500 억 달러 (약 55 조원)에이를 것으로 추산했을 때 미국 증시 상장으로 한국 국민의 투자 기회를 막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쿠팡’의 틀을 강화했다. 미국 회사입니다. .

그러나 쿠팡은 한국의 쇼핑몰, 사업장, 물류 센터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한국 기업이다. 쿠팡 택배사 원인 쿠팡만을 포함 해 직원 수는 5 만 명에 이르며 2025 년까지 신입 사원 5 만 명을 채용 할 예정이다. 소비자의 99 %가 한국인이다. 업계에 따르면 한국 소비자는 지난달 쿠팡에서 2 조 4000 억원을 소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얻은 소득에 대한 세금은 국내에서 지불됩니다.

사실 비즈니스와 소비, 투자가 국경을 넘나 드는 글로벌 시대에 지분 구조를 가진 기업의 국적을 정의하는 것은 무의미 해 보입니다. 오프라인 작업장을 기반으로하지 않는 플랫폼 기업에게는 국경이 전혀 없습니다.

특히 쿠팡은 아마존, 알리바바 등 글로벌 플랫폼 기업에 비해 아직 작다. 누적 적자 4 조 5000 억원을 기록한 쿠팡과는 달리 알리바바는 상장 직전 흑자를 기록했고 이용자 수는 쿠팡의 15 배다. 쿠팡은 국적을 고려하는 것보다 미국 증시 상장을 통해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고 국내 입지를 강화하며 해외 시장 점유율을 확대 해 국내 전자 상거래 생태계 성장을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것이 더 생산적 일 것입니다.

/ 박민주 기자 [email protected]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