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 사업’1 인당 평균 수입. 연합 뉴스
국세청에 등록 된 유 튜버 등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 2,776 명의 평균 매출은 3 억 1 억 2 천 2 백만 원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 재정부 위원 양경숙 국회 기획 재정부 위원이 국세청에서받은 ‘미디어 컨텐츠 창작자 소득 백분위 수 데이터’에 따르면 2776 명의 미디어 컨텐츠 창작자들이 2019 년 총소득.보고 된 소득은 875 억원으로 1 인당 평균 3,152 백만원입니다. 소득 금액은 비용을 공제하기 전 단계로 매출액과 비슷합니다.
국세청은 2019 년 9 월 ‘미디어 콘텐츠 제작’과 ‘1 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을위한 업계 코드를 발표했다. 유 튜버, 비제이 등 모바일 기반 미디어 플랫폼과 인터넷 환경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신규 사업의 수입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산업 코드가 생성되기 전에 YouTube 사용자는 ‘기타 자영업자’로 분류되어 소득을 결정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인더스트리 코드 제정 (작년 5 월) 이후 첫 번째 포괄 이익 보고서에서 유 튜버를 포함한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수입의 1 % 인 27 명의 수입은 18125 억원으로 평균 1 인당 671 백만원이 발견됐다.
상위 10 % 277 명 1 인당 평균 소득은 약 2 억 1,600 만 원이다.
하위 50 %의 소득은 15 억원으로 1 인당 평균 10 억원이다. 하위 33 %의 917 명 평균 소득은 연간 100 만원 미만이었다.
지난해 1 월 현재 약 3,400 개의 한국 계정 (채널)을 보유한 유튜브 통계 분석 회사의 통계를 보면 지난해 1 월 현재 구독자 10 만 명 이상을 기록한 유 튜버의 2019 년 포괄 이익 보고서가 부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구독자가 10 만명을 넘으면 연소득은 약 수 천만원으로 알려져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별도의 산업 규범을 제정 한 후에도 과거와 같이 자영업자로 신고하는 유 튜버가있어 소득 신고를하는 유 튜버가 2776 명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경숙 의원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세무 당국이 신규 사업 소득을 결정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세법이 새로 정해졌지만 유 튜버 개인이 자발적으로 신고하지 않는 한 세무 당국이 수익을 결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영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