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매춘부”논문, 비참한 결함, 하버드 교수들의 반격

“위안부는 매춘부 다”라고 주장한 하버드 대 교수의 논문에서 미국 학계에서는 “학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하버드 대학교 신문, 학자 반박
“초안을 읽는 것은 충격적입니다. 많은 증거가 누락되었습니다.”

서울 종로구 중학동 구 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 소녀상 이미지.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중학동 구 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 소녀상 이미지. [연합뉴스]

7 일 (현지 시간) 하버드 대 신문 ‘하버드 크림슨’은 미국 역사 법학과 교수들이 하버드 로스쿨 교수 인 존 마크 램 세어의 논문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하버드 대 한국학 연구소 소장 인 한국사 교수 카터에 커트가 하버드 크림슨에 이메일을 보냈다. “Ramseyre의 논문은 비참하게 경험적으로, 역사적으로, 도덕적으로 결함이 있습니다.”지적했다. 에 커트 교수는 “(램세 이어 교수)는 위안부 문제의 본질 인 일제 식민주의와 군국주의의 맥락을 무시했다”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성적 존엄성은 무시되고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문제로 축소되었다”고 지적했다.에 커트 교수는 하버드 대 동료 교수 인 앤드류 고든과 함께 준비하고있다. Ramseyre 교수의 논문을 비판하는 별도의 반박이 기사는 학술지에 게재됩니다.

2004 년 당시 하버드 대 한국학 연구소 장인 카터에 커트가 이화 여자 대학교에서 특강을하고있다. [중앙포토]

2004 년 당시 하버드 대 한국학 연구소 장인 카터에 커트가 이화 여자 대학교에서 특강을하고있다. [중앙포토]

Ramseyre 교수의 학생도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1990 년대에 그의 수업을 들었던 사람 코네티컷 대학의 한일 사 교수 인 알렉시스 더든은이 논문에서 편견을 지적했다. 그들은 많은 학문적 증거를 배제하고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만을 선별 적으로 받아 들였습니다. 그는 Ramseyre 교수의 논문이 “개념 상 오류”이며 “위안부가 설치 될 때까지 역사적 배경과 맥락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채 쓰여졌 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동시에 그는 그를 “끔찍하고 어리석은 학문적 제품”이라고 비판했다.

Alexis Durdon, 미국 코네티컷 대학교 역사 교수 [코넷티컷대 홈페이지 캡처]

Alexis Durdon, 미국 코네티컷 대학교 역사 교수 [코넷티컷대 홈페이지 캡처]

Durdon 교수는 작년 12 월 Ramseyre 교수가 논문 초안을 받아 검토하고 문제를 제기했다고 말했다. 하버드 크림슨에 따르면 초안을보고 두든 교수는 “충격적”이라며 “일본 정부의 입장을 반박하는 주된 이유가 많이 누락되어 심각한 논리적 오류가 있다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논문의 최종본에 Durdon 교수의 의견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위안부 피해자들이 성 노예로 살았다는 기존의 연구를 반박하는 논리 만 드러났다는 비판도 있었다. 뉴욕 퀸즈 대학교 사회학과 민 평갑 교수는“우리는 일본의 신 민족 주의적 관점에만 초점을 맞추고있다”며 논문의 의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Harvard Crimson에 따르면 Ramseyer 교수는이 비판이 논문의 초기 버전에서는 ‘역사와의 논란’의 형태로 비판이되었지만 저널의 요청에 따라 삭제되었다고 답했습니다. 하버드 크림슨은 이와 관련하여 저널이 입장 진술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마크 램 지어, 하버드 대학교 법학 교수. [사진 하버드대]

마크 램 지어, 하버드 대학교 법학 교수. [사진 하버드대]

앞서 Ramseyre 교수는 3 월에 발간 될 법률 및 경제 저널 인 ‘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y’65 권에서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라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 그의 논문에서 그는 위안부들이 일본군과 상호 이익을 위해 계약을 체결했으며 일본 정부가 여성을 속인 모집 자들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위안부 계약 이론을 연구 한 하버드 대 법대 교수 인 노아 펠드먼은 램 세어 교수의 주장에 대한 주장에 대해 하버드 크림슨을 비판했다. 논문에서 위안부 계약은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차별을 체계적으로 합리화하는 ‘짐 크로우 법’과 비교되었지만 펠드만 교수는이 법이 ‘부채 기반 노예 계약’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펠드만 교수는 “권력 불일치로 인한 강제 계약임을 증명했다”고 지적했다.

위안부들이 자발적으로 계약에 서명했다는 혐의와 관련하여 Wellesley College의 아시아 및 정치학 교수 인 Catherine Moon 그는 위안부가 계약을 맺은 맥락을 무시한 것에 대해 “14 세에서 16 세 사이의 여성들이 내용을 완전히 이해했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습니까?”라고 비판했습니다.

이민정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