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제보는Y] 같은 방에있는 환자가 신분증을 훔쳐서 사기 … 은행도 커뮤니티 센터도 몰랐습니다

[앵커]

병실에서 신분증과 장애인 복지 카드가 도난당했습니다.

같은 병동에서 입원과 퇴원을 거듭 한 환자의 일로 밝혀졌지만 도난당한 신분증으로 대출을 받아 3000 만원을 모았다.

팁은 신준명 기자 Y입니다.

[기자]

1 급 장애로 입원 한 A 씨.

작년 9 월, 같은 방에 있던 신모 (49 세)와 친 해졌다.

그런데 신씨가 퇴원 한 뒤 신분증이 사라진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A 씨 / 피해자 : 제 전화기를 만지면서, 제 전화기에 꽂혀있던 신분증을 만지작거리면서…. 나는 넣어놓은 줄 알았어요, 제 휴대전화 안에. 20일쯤 지났나 열어보니까 없어졌어요.]

한 달 후 다시 입원 한 신씨는 4 일 만에 퇴원했지만 이번에는 장애 복지 카드가 사라졌다.

[A 씨 / 피해자 : 주민등록증 분실 신고를 했으니까 그걸 못 써먹겠다 싶었는지 다시 입원했어요. 이 사이에 제 장애인복지카드를 훔쳐서 나간 거예요.]

A 씨는 은행으로부터 보증금 200 만원이 인출 됐다는 문자를받은 뒤 경찰에 신고했다.

하지만 신씨가 A 씨의 신분증으로 대포 폰을 만들어 카드사로부터 1500 만원의 대출을받은 뒤 벌써부터였다.

장애인 복지 카드는 A 씨의 통장을 재발행하고 계좌 비밀번호를 변경했습니다.

경찰은 신고를받은 지 6 일 만에 신씨의 체포 영장을 신청했으나 법원에서 기각됐다.

이후 무단 수사를당한 신씨는 A 씨의 주민등록증 재발급을 받고 다시 계좌에서 1400 만원을 인출했다.

지난달 29 일 추가 피해 신고를받은 경찰은 금정역 인근에서 신 씨를 체포하고 1 일 체포했다.

YTN 신준명[[email protected]]이다.

[앵커]

도난당한 신분증과 장애 복지 카드로 통장을 다시 만들고 대출을 받았지만 의심은 사지 않았다.

커뮤니티 센터에서 은행까지 본인 확인 과정을 무시한 증거입니다.

다음은 손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A 씨의 이름으로 된 통장 대체를 받기 위해 장애 증명서가 필요한 신씨.

먼저 장해 복지 카드를 훔쳐서 주민 센터에갔습니다.

복지 카드에 적힌 A 씨의 사진처럼 안경을 쓰고 머리를 장식 한 뒤 어려움없이 장애 수첩을 받았다.

[군포1동 주민센터 관계자 : 안경 쓴 분들은 안경만 비슷하게 써도 비슷해 보이고, 남자분들은 머리 짧게 자르시고 머리스타일만 비슷하면]

마스크를 벗지 않았지만 신원 확인 절차가 빠르게 끝났습니다.

[군포1동 주민센터 관계자 : 여기가 코로나19 감염이 돼서 며칠 동안 폐쇄하고 그랬어요. 그래서 마스크를 내리기가 상당히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었고.]

A 씨의 주민등록증도 문제없이 재발행되었습니다.

지문 인증 절차는 무사히 통과됐지만 주민 센터 측은 지문 인식 장치에 오류가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부곡동 주민센터 관계자 : 지문이 많이 닳아서 인식 안 된다고 민원, 항의가 엄청 많이 와요. 이런 기계를 가져다 놨느냐면서 최근에 특히 나이 드신 분들은 지문이 잘 안 나와요.]

오류가 10 회 이상 발생했지만 다른 방법으로 더 이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부곡동 주민센터 관계자 : (지문인식이 의심스럽다고 하면 추가적인 인증을 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다르고… 일괄적으로라고 말씀드리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이 발급 된 주민등록증과 장애 증명서를 이용하여 신씨는 3 개 은행에서 통장 재발행을 받거나 A 씨의 이름으로 예금을 회수했다.

또한 두 신용 카드사로부터 1,500 만원의 대출을 받았습니다.

어디에도 적절한 신원 확인이 없었습니다.

YTN 손효정[[email protected]]이다.

※ ‘귀하의보고가 뉴스가됩니다’YTN은 귀중한보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려면 YTN 검색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