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집단 회의’형 검역을 넘어 피해 공유 …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

[앵커]

코로나 19 확산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제도 개편 논의가 본격화되고있다.

현재의 이격 장치는 다용도 시설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일부 과실로 피해를 입은 대다수가 격리 격리를 진행하고 있다는 비판이있다.

특히이 과정에서 피해 분담이나 취약 계층의 기본권 보장 등을 소홀히했으며 향후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형원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도입 한 사회적 거리를 재편했다.

지난해 6 월 3 단계 시스템화에 이어 11 월 5 단계로 세분화됐다.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 개인 간 접촉이 우세했던 이번 3차 유행 겪으면서 다중 이용시설 중심으로 설계된 현행 거리 두기 체계의 한계도 함께 드러났습니다. 현재의 거리 두기 체계를 다시 재편하고자 합니다.]

전문가들은 3 차 개편 방향을 논의한 토론에서 시설 폐쇄보다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역을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실내 스포츠 시설, 레스토랑, 카페, 현재 거리에 의해 규제되는 엔터테인먼트 시설은 다소 작습니다.

[김 윤 /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 교수 : 소수의 시설이 방역 지침을 지키지 않아 거기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했는데, (방역 수칙 잘 지키는) 다수의 선량한 시설이 문을 닫게 만드는 방식은 단체 기합이라고 밖에…. 국민 희생도 화수분이 아닙니다.]

확진 자 수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그 과정에서 영향을받는 취약 계층에서 외면했다는 비판도있다.

업그레이드로 복지 시설이 폐쇄되면서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기본권 마저 위협 받았다.

[구인회 /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노숙인 쪽방에 집합금지 조치가 취해지면서 이분들은 기아 상태로 떨어져요. 집단감염은 발생하지 않지만, 배고픔에 시달리는….]

그는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 19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고려한 새로운 검역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특정 클래스에 피해가 집중되지 않도록 나눔의 문제를 생각할 때입니다.

[권순만 /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에게 미치는 막대한 영향을 외면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 비용을 과소평가했던 거죠. (앞으로) 의사 결정에 (국민) 참여와 공론화를 하지 않으면 방역 정책은 실패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2 차 토론회는 9 일로 예정되어 있으며, 거리의 영향을 많이받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참여할 예정이다.

YTN 이형원[[email protected]]이다.

※ ‘귀하의보고가 뉴스가됩니다’YTN은 귀중한보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려면 YTN 검색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