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I 국장 트럼프의 눈의 눈 ‘레이, 바이든은 유지

백악관은 21 일 연방 수사 국 (FBI)의 크리스토퍼 레이 국장이 재직했다고 발표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백악관은 21 일 연방 수사 국 (FBI)의 크리스토퍼 레이 국장이 재직했다고 발표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퍼지 타겟 ”으로 지명 된 연방 수사 국 (FBI) 수장 인 크리스토퍼 레이 (55 세)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유지되었습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1 일 (현지 시간) 트위터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레이 감독을 유지하기를 원하며 감독은 그의 작업에 자신이있다”고 말했다.

사키는 전날 첫 번째 백악관 브리핑에서 FBI 국장으로 남을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나는 바이든과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워싱톤 포스트 (WP)는 21 일 이사가 교체 될 것으로 관측되면서 합의 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레이 감독은 정권 초기 인 2017 년 6 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직접 임명했습니다. 당시 제임스 코미는 재직했지만“러시아 스캔들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자 트럼프 전 대통령이 그를 해고했다. 당시 트럼프 진영이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러시아와 접촉하여 선거에 영향을 미 치려한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레이 국장은 수사를 막기 위해 대통령이 FBI 수장을 교체했다는 논란 속에서 등장했다.

전 FBI 국장 제임스 코미는 '러시아 스캔들'을 조사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의해 해고 된 혐의를 받고있다. [AP=연합뉴스]

전 FBI 국장 제임스 코미는 ‘러시아 스캔들’을 조사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의해 해고 된 혐의를 받고있다. [AP=연합뉴스]

하지만 레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눈 밖에 있었다. 그해 7 월 열린 청문회에서 그는 “로버트 뮬러 특별 검사가 ‘마녀 사냥’으로 러시아 스캔들을 조사하고 있다고 생각 하는가?”라는 질문에 “아니오”라고 대답했다. 그는 심지어 뮬러를 “완벽한 전문가이자 스트레이트 슈터”라고 평가했습니다. 2000 년대 초 로버트 뮬러가 FBI 국장을 맡았을 때 레이는 법무부에서 수석 범죄 수사로 그와 함께 일했습니다.

    전 FBI 국장 Robert Mueller가 러시아 스캔들 특별 검사에 임명되었습니다.  중앙 사진

전 FBI 국장 Robert Mueller는 러시아 스캔들 특별 검사에 임명되었습니다. 중앙 사진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갈등은 작년 대선을 통해 절정에 달했습니다. 그는 국회에 참석해 “러시아는 바이든 후보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계속 퍼뜨렸다”며 러시아 스캔들을지지하는 증언을했다. 또한 투표가 임박하자 트럼프는 FBI가 Biden의 아들 Hunter의“우크라이나 충돌 ”혐의에 대해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있지 않다고 공개적으로 불평했습니다.

지난해 11 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마크 에스퍼 전 국방 장관의 해임 소식을 트위터를 통해 알렸을 때 뉴욕 타임스 (NYT) 등은 “다음 차례 중 하나는 레이 감독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지난해 12 월 NBC는 “트럼프 대통령이 레이 국장을 해고하려했지만 백악관 변호사가이를 막았다”고 보도했다.

2019 년 한국을 방문한 FBI 크리스토퍼 레이 국장은 윤석열 검찰 총장을 만났다. [연합뉴스]

2019 년 한국을 방문한 FBI 크리스토퍼 레이 국장은 윤석열 검찰 총장을 만났다. [연합뉴스]

레이 국장은 2019 년 FBI 한국 지부 설립 20 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당시 FBI 국장은 20 년 만에 대검찰청을 방문해 윤석열 검찰 총장을 만났다. 당시 두 사람은 암호 화폐 피싱 사건 조사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미국 서버를 통해 피싱 사이트를 만든 거래소 운영자를 체포 해 9 억 원 상당의 가상 화폐 ‘리플’을 가로 챈 사건이다. 당시 그들은 미국 서버를 사용하여 가상 화폐를 세탁했고 FBI는 거래 내역을 포함한 수사 정보를 한국 검찰에 제공했습니다.

당시 레이 국장의 방한 일정은 보안상의 이유로 출국 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북한 관련 미국 언론인 ‘국영 통신사’에 윤 대표가 FBI의 지휘 아래 문재인 정권을 공격하는 비밀 작전을 벌였다는 근거없는 기사가 게재됐다.

김선미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