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연합뉴스]](https://i0.wp.com/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1012214172240057_1611292642.jpg?w=600&ssl=1)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분석에 따르면 새해를 맞이하는 데 작년보다 10 % 더 많은 비용이 든다.
한국 인플레이션 협회는 21 일 현재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광주, 광주 등 전국 6 개 주요 도시 8 개 전통 시장에서 과일, 견과류, 채소 등 29 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했다. 대전. 22 일 춘절 기준 비용은 23,3750 원으로 작년보다 11.0 % (23,160 원) 증가한 것으로 22 일 밝혔다.
조사 대상 품목 중 21 개 품목의 가격이 올랐고 7 개 품목이 하락했습니다. 과일 중 사과는 22.3 %, 배는 12.5 % 증가했다.
견과류 중 밤과 대추 가격이 올랐다. 밤 1kg 구입비는 평균 8070 원으로 지난해 서 있던 7880 원보다 2.4 % 올랐고 대추 (400g) 가격은 12.1 % 올랐다. 그러나 곶감 (10 개 품목) 가격은 6.5 % 하락했다.
최근 한파로 수확 부진으로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녹색 채소 가격도 상승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파 (1 단계) 가격은 지난해보다 100 % 올랐고 시금치와 도라지도 각각 32.0 %, 8.6 %에 거래되고있다. 무 가격은 35.7 % 하락했다.
육류는 소고기 (국물 400g)와 돼지 고기 (돼지 고기 육수 1kg) 가격이 지난해 개봉 당시보다 각각 25.7 %, 17.6 % 올랐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은 가정 식량 수요를 증가 시켰고, 농작물 부진, 악천후, 가축 전염병 등으로 공급이 원활하지 못했습니다. “끝났다.”
임춘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