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용 삼성 전자 부회장은 국정 농단의 멸망과 송환에 대한 판결로 어제 다시 수감됐다.
삼성 그룹은 ‘총 인원 부재’위기에 맞서 비상 관리 체제에 진입했고, 삼성 준법위원회도 정상 운영했다.
그러나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구치소 인터뷰가 제한되면서이 부회장의 ‘사내 관리’는 한계에 부딪혔다.
이광엽 기자.
[기자]
철회 심의 건의에 따라 삼성에 설립 된 준법 감시위원회는 향후 활동을 계속할 의사를 밝혔다.
컴플라이언스위원회는 이달 정기회의에 이어 7 개 계열사 최고 경영자 간담회를 개최하여 경영 감시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앞서 ‘파괴 소환 재판소’부회장은 컴플라이언스위원회가 선제 적 모니터링 활동을하지 못했다며이 부회장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
지난해 5 월이 부회장이 국민들에게 사과 한 이후, 삼성 전자가 아동 경영권 승계를 중단하고 노사 단체 협약을 체결하는 등 가시적 인 변화를 모색 한 것은 매우 유감 스럽다.
그러나 컴플라이언스위원회의 지속적인 활동은 국민에 대한 공약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보장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재용 / 삼성전자 부회장(지난해 5월, 대국민 사과) : 저와 관련한 재판이 끝나더라도 삼성준법감시위원회는 독립적인 위치에서 계속 활동할 것입니다. 그 활동이 중단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겠습니다.]
이재용 부회장은 구치소에서 코로나 19 음성 판정을 받았으나 향후 4 주간 격리 될 예정이다.
삼성 내부에서는 주요 간부들의 구금 시설 방문도 제한 돼이 부회장의 감옥 관리가 현실적으로 제한 될까 봐 우려했다.
특히 ‘총 격차’로 인해 인수 합병, 대규모 투자 등 주요 의사 결정이 불가피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병태 /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 : (삼성그룹이) 글로벌 일류기업으로 부상한 것도 IMF, 외환위기 때 구조조정을 잘하고 신경영이라고 하는 혁신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인데 지금 코로나 대유행 와중에 또 그런 일을 해야 되는 시점인데 지금 기회를 어렵게 만들고 있지 않나…]
2017 년 이후 ‘총 인원 부재’상황에 직면 한 삼성 그룹은 각 계열사 전문 관리자를 중심으로 비상 관리를 먼저 시작했다.
YTN 이광엽[[email protected]]이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