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34 명 “바이든은 북한 전쟁 법을지지하겠다”0 명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 (왼쪽)와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 당선자.  Biden-elect가 1 월 20 일 정오 (현지 시간)에 취임하여 46 대 미국 대통령이됩니다.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 (왼쪽)와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 당선자. Biden-elect가 1 월 20 일 정오 (현지 시간)에 취임하여 46 대 미국 대통령이됩니다. [AFP=연합뉴스]

1 월 20 일 (현지 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과 함께 문재인 정부는 5 년 만에 새로운 동맹 관계를 맺는다. 이것이 바로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외교 안보 문제와 관련하여 바이든 정부와의 ‘정책 화학’이 중요한 이유이다. 이에 중앙 일보는 한 · 미 · 중 · 일 외교 · 안보 전문가 34 명이 심층 조사를 실시해 현안 이슈로 비덴 행정부의 입장을 예견했다. 바이든 정부의 정통 외교 복귀 원칙을 감안할 때 지식이 풍부한 외국 및 안보 전문가의 분석과 예측은 상당한 시사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설문지는 객관식 18 문항과 단답형 20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 조사는 11 일부터 18 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국회는 미국이 ‘북한 전쟁 금지'(남북 관계 개발법 개정)에 대해 전단지 나 USB 물품을 북한에 보낸 혐의로 수감 될 수 있다는 비판의 중심이었다. 트럼프 행정부 국무부는“북한으로의 자유로운 정보 흐름을 촉진하는 것이 미국의 우선 순위”라며 우회 우려만을 표명했다.

‘문과 바이든 정책 케미’미리보기

인권과 같은 보편적 가치를 중시하는 바이든 정부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34 명의 전문가에게 질문 한 결과“대북 전쟁 법 제정을지지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0 명이다.

전문가들이 예측 한 현안 별 비덴 행정부의 입장.  그래픽 = 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전문가들이 예측 한 현안 별 비덴 행정부의 입장. 그래픽 = 차준홍 기자 [email protected]

또한 14 명 (41.2 %)은 바이든 정부가 전단 법에 반대하지만 한국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16 명은 전단 법에 반대하고 한국에도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답했다. 사람 (47.1 %). 갚아야할지 말지의 문제로 전단 법에 대한 문재인 정부와 바이든 정부의 의견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 될 수있다.

서강대 정치 외교학과 김영수 교수는 “이번 문제는 신혼 여행 기간이없는 한미 관계의 불편 함을 드러내며 한국의시기와 형식에 영향을 미칠 수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정상 회담. ” 박인휘 이화 여자 대학교 국제 학부 교수는“초기 이슈가 될지 판단하기 어렵지만 바이든 정부는 전단 법 문제를 다음과 같이 명확히 인식 할 것이다. 정보 확산과 인권 문제. ”

법이 실제로 적용되고 처벌되면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 평화 교섭 본부장은“바이든 정부가 먼저이 문제를 로터리 방식으로 제기 할 것으로 보이지만, 남한의 처벌을 받거나 북한으로의 정보 유입을 막 으면 양국 관계가 불편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브루스 베넷 랜드 교수의 페이 디 대학원 교수는“바이든 대통령은 동맹을 강화하고 싶어서 용인 할 수있는 문제를 남길 것이지만 모든 문제는 아니다. . “나를 벌하려는거야?” 그는 물었다.

긁힐 것입니다. “군사 협정은 상황을 지켜 보는 것 같다.”

전문가들이 예측 한 현안 별 비덴 행정부의 입장.  그래픽 = 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전문가들이 예측 한 현안 별 비덴 행정부의 입장. 그래픽 = 차준홍 기자 [email protected]

대북 전쟁 법에 대한 이러한 우려는 2018 년 남북한의 9 · 19 군사 협정에 대한 대응과도 비교되며, 이는 미국의 연합 방위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국내 비판이 있기 때문이다. 34 명 중 가장 많은 사람 (58.8 %)은 ‘바이든 정부가 다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북-미 관계 등 상황을 관찰하고 대응할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큰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답했다. ‘

그러나 사실 여기서 초점은 ‘상황 관찰’이었다. 20 명 중 11 명은“북한이 이미 9/19 협정을 어 기고 무력화했기 때문에”또는“어쨌든 이행은 불가능하지만 한미 동맹을 문제로 불편하게 만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유를 들었다. 미국이 지금 당장은 인식 할 수없는 합의를함으로써 부흥을 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18 일 신년 기자 회견에서 지난 3 월 한미 합동 훈련에 대해“남북한이 다음을 통해 남북 합동 군사 훈련을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남북 군사 합동위원회. 필요하다면 남북 군사 합동위원회를 통해 북한과 협의 할 수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8 일 청와대 춘추 홀에서 열린 온 오프 혼성 신년 기자 회견에서 질문을 할 기자를 임명하고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8 일 청와대 춘추 홀에서 열린 온 오프 혼성 신년 기자 회견에서 질문을 할 기자를 임명하고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9 · 19 군사 합의에 따른 후속 조치 논의가 시작되면 바이든 행정부의 입장이 바뀔 수있다. 김홍균 전 외교부 평화 교섭 본부장은“북한이 한미 연합 방위 능력 문제 제기와 도입 등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면 한국이 미국의 무기를 올릴 수 있습니다. ” 일본 시즈오카 현립 대학 오쿠 조노 히데키 교수는“문재인 정부는 문재인 정부가 북한에 대한 진정 정책을 받아들이지 않고 남북 관계만을 이끌고있다. 제한된 미국 행동. ” 한동대 국제 지역학과 박원곤 교수는 “남북 관계가 재개되거나 남북 공동 군사 합동위원회가 결성되고 논의가 시작된다면 미국과의 긴밀한 사전 협력이 이루어져야한다”고 말했다. . ”

20 일 취임 예정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 [AFP=연합뉴스]

20 일 취임 예정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 [AFP=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전단 법 문제는 미국과의 소통을 통해 해결되어야한다고 조언했다. 서울대 국제 대학원 박철희 교수는 “남한이 북한 인권을 존중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전재성 서울대 정치 외교학과 교수는“북한 인권, 비핵화 과정, 대북 안보 보장 등의 문제가 향후 다시 충돌 할 수있는 상황에서 한국 인권 정책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데 필요합니다. ”

조병제 전 외교부 장관은“핵심은 어떤 정보가 도입 되는가이다. 한국은 새로운 정보가 북한에 도입되어야한다는 원칙에 반대하지 않는다. 이 기본 입장에서 미국에 설명 할 수 있고 양국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고 말했다.

특별보고 팀 기자 이철재, 유지혜, 정진우, 박현주 기자 = 신경진, 박현영, 이영희 와이즈 펜 @ joongang.co.kr

◇ 도움을 주신 분 (알파벳순, 외국인 전문가 랜덤)

▶ 강준영 한국 외국어 대학교 국제 대학원 교수 ▶ 고명현 아산 정책 연구원 연구 위원 ▶ 김성한 고려 대학교 국제 대학원 교수 ▶ 김영수, 서강대 학교 정치 외교학과 교수 ▶ 김용현 전 합동 참모 본부장 (예비군 중장) ▶ 김한권 국립 외교 원 교수 ▶ 김현- 원욱 교수 ▶ 김홍균 전 외교부 한반도 평화 교섭 본부장 ▶ 남남욱 고려 대학교 통일 외교학과 교수 ▶ 박원곤학과 교수 한동대 학교 국제 지역학 ▶ 이화 여자 대학교 국제 학부 박인휘 교수 ▶ 서울 대학교 국제 대학원 박철희 교수 ▶ 손열 동아시아 연구 소장 (연세대 학교 국제 대학원 교수) ▶ 사회 연구소 외교 안보 센터 장 ▶ 신성호 서울 대학교 국제 대학원 교수 ▶ 신기호 교수 동서 대학교 ▶ 양기호 성 국회 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 여석 주 전 국방부 국방 정책 실장 ▶ 우정엽 세종 연구소 미국 연구 센터 장 ▶ 윤영관 서울 대학교 정치 외교학과 명예 교수 ▶ 이신화 고려 대학교 외교 교수 ▶ 전재성 서울 대학교 정치 외교학과 교수 ▶ 병제 조 전 국립 외교 원장 ▶ 진희 관 통일학 교수 제 대학교 ▶ 황준국 전 외교부 한반도 평화 교섭 본부장 ▶ 홍민 북한 통일 연구원장 ▶ 에반스 리비어 전 동아시아 태평양 국무 차관보 ▶ Ken Goss 미 해군 분석 센터 (CNA) 소장 ▶ Bruce Klinger, 미국 유산 재단 선임 연구원 ▶ Bruce Bennett, 미국 토지 연구소의 Padi 대학원 교수 ▶ Biingda, 동북아 아카데미 부교수, 중국 산동 대학교 ▶ 중국 난카이 대학교 이춘 푸 교수 ▶ 일본 니시노 준야 케이오 대학교 교수 ▶ 오쿠 조노 히데키 일본 시즈오카 현립 대학교 교수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