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1 %의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OTT) ‘웨이브’는 트래픽의 25 %를 발생시키는 유튜브 (구글)와 동일한 규정이 적용 돼 논란이되고있다.
Wave는 넷플릭스 무임 승차 방지법 (전기 통신 사업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서비스 안정화 의무가있는 서비스 제공 업체로 포함됩니다. 웨이브의 경우 지난해 말 3 개월간 트래픽 량을 기준으로 목표에 포함돼 국내 콘텐츠 제공 업체 (CP) 산업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Wave가 Netflix Act에 갑자기 포함 된 이유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는 “전기 통신 사업법 개정에 따라 올해 의무 사업자가 지정된다”고 18 일 밝혔다. 타겟으로 구글 (25.9 %), 페이스 북 (4.8 %), 넷플릭스 (3.2 %), 네이버 (1.8 %), 카카오 (1.4 %), 웨이브 (1.18 %)가 선정됐다. 앞으로 이들 사업자는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 방안을 마련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서비스는 이용자의 단말기 또는 인터넷 망 사업자 (ISP)를 차별하지 않고 제공되어야하며, 기술적 오류 및 트래픽 혼잡을 방지하기위한 사전 조치를 취해야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불편 함을 해소하기 위해 온라인 / 자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해야합니다.
시행령에 따르면 대상 사업자 선정 기준은 이용자 수와 트래픽 양이다. 전년도 말 기준 3 개월간 하루 평균 100 만 명 이상의 국내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총 트래픽의 최소 1 %를 목표로하는 부가가치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입니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에 따르면 트래픽의 1 %는 하루 종일 고화질 (HD) 동영상을 사용하는 약 35,000 명, 메신저 또는 정보 검색을 사용하는 5 천만 명입니다. 지난해 시행령 개정 발표 당시 조건을 충족 한 5 개 업체는 구글, 페이스 북, 넷플릭스, 네이버, 카카오였다.
국내 기업들이 삽입 할 ‘1 % 규칙’논란
그러나 지난해 10 월부터 12 월까지의 공식 집계 기간 동안 웨이브의 트래픽이 증가하여 필수 대상 기업으로 포함되었습니다. 김남철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 통신 경쟁 정책 과장은“웨이브의 경우 교통 규격 (총 교통량의 1 %) 경계선에 있었다. 의무적 인 사업자이지만 10 월부터 12 월까지의 공식 집계 기간을 충족 한 후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이러한 이유로 CP 업계에서는 “표준이 아직 모호하고 불확실성이 높다”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가 국내 사업자를 규제 대상으로 포함하는 ‘1 % 규칙’을 제정했다는 의혹이있는 상황에서 측정 기간에 따라 지정 대상이 달라지는 문제가 지적 됨 . 법 개정 당시 국내 CP 업계는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CP를 포함시키기 위해 교통 기준을 1 %로 정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3 % 기준으로 해외 CP 만 포함 되나 1 %로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CP가 포함된다. 당시 국내 CP 업계는 “해외 사업자가 본국에서 실제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로 규제를 벗어나게되며 국내 사업자 만 투옥의 효과를 낼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CP 산업, “적용 대상의 가능성
이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물결이 타깃 사업에 포함되었고 업계는 당황 스러웠다 고 반응했다. 익명을 요구 한 CP 업계 관계자는“국내 트래픽의 25 %를 유발하는 구글과 1 % 정도를 유발하는 웨이브를 동일한 규제 틀에 넣는 것이 문제지만 국내 CP 입장에서는 규정에 언제 포함 될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더 큰 불확실성과 함께 더 심각한 문제입니다.” 또 다른 관계자는“국내 CP 입장에서는 언제 의무 서비스 사업자로 선정 될지 모르기 때문에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전체 교통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필요가있다. ”
김경진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