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증시]역사상 처음으로 ‘코스피 3000’시대가 열린다 … 6 일 주식 시장 촉감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코스피가 3000 시대에 처음으로 진입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증권사들이 3000 선 이상으로 올해 주식 시장 1 위권을 제시하면서 5 일 코스피가 2990.57로 마감 해 3000 선에 10 포인트 만 남았 기 때문이다. 미국 증시는 새해에 약 1 % 급락했지만 국내 증시는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 갔다. 6 일 국내 증시를 주시하는 투자자들은 전날 마감 된 미국 증시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고있다.

[굿모닝 증시]역사상 처음으로 '코스피 3000'시대가 열린다 ... 6 일 주식 시장 촉감
코스피는 3000 선 아래 턱에 닿았 다. 5 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46.12 포인트 (1.57 %) 오른 2990.57로 거래를 마감했다. 7 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6 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있다. 사진은 서울 영등포구 KB 국민 은행 딜링 룸이다. / 김현민 기자 kimhyun81 @

◆ 키움 증권 서상영 연구원 = 전날 한국 증시는 개인 투자자들의 반도체 선호도가 확산되면서 수요와 수급에 치중했다. 이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미국 증시에서 마이크론의 목표 주가 상향 조정으로 시장 초기 3000 선을 넘어 1.94 % 상승 할 전망이다.

한편 조지아 선거는 장중에 집계되며, 시장이 예상 한대로 민주당이 이기면 가치주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달러 약세와 국제 유가 상승이 최근 제품을 판매 한 외국인들의 수급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점도 유리하다.

그러나 고 가치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지속될 수있어 상승폭을 확대하기보다는 3,000 포인트를 돌파 한 후 판매 과정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크론 목표 주가 급등에 따른 반도체 산업, 국제 유가 및 국채 금리 급등에 따른 에너지 및 금융 부문, 미국 증시에서 발생하는 이슈, 미국 제조업 지표 개선 및 12 월 미국 자동차 판매 동향. 이에 따라 주식 시장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며, 태양 광 산업 투자 등급이 하향 조정 된 후 JPMorgan이 발표 한 비트 코인 $ 146,000 예측 및 관련 주제가 발표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삼성 증권 서정훈 연구원 = 5 일 (현지 시간) 뉴욕 증시는 새해 첫날 하락세를 꺾고 성공적으로 반등했다. 주요 경제 지표는 강했습니다. 조지아의 상원 선거가 시작되었지만 투자자들은 차분한 입장을 보였다. 이날 S & P 500은 전날 대비 0.71 % 상승했고, 다우 존스 30 산업 평균은 0.55 % 상승했으며,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지수는 0.95 % 상승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94 % 상승하여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날 지수에 가입 한 기업은 1 주를 제외하고 모두 상승했다. 이 중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4.3 %)와 램 리서치 (3.5 %)가 괄목할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시가 총액이 가장 높은 대형 기술 주도 상승했다. 애플과 아마존, 페이스 북과 알파벳은 약 1 % 증가한 반면 마이크로 소프트는 강세를 보였다. 주요 은행주도 강세를 보였으며 Goldman Sachs와 Citigroup은 2 % 대 상승했습니다.

이날 WTI 국제 유가는 하루 만에 4.9 % 상승하여 49.9 달러로 마감했습니다. 그 영향으로 미국 주식 시장의 에너지 관련 주식도 상승했다.

이날 발표 된 경제 지표도 긍정적이었다. 미국 제조업 정서를 나타내는 ISM 구매 관리자 지수는 전월 대비 3.2 포인트 오른 60.7을 기록했다. 시장 추정치 인 56.8을 크게 상회하며 2018 년 8 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 이후 심한 폭풍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의 회복은 견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 별로는 에너지 부문이 4.5 % 증가하여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다음으로 소재, 산업재, 소비재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국내 주식 시장은 3000 라인 이상으로 10 포인트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다. 단기적으로 급격한 상승세를 보인 것은 사실이지만 풍부한 유동성 여건, 글로벌 제조업의 회복, 국내 기업들의 안정적인 실적 전망을 감안할 때 분명 설득력이있다.

오주연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