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투자와 리스크 관리로 거인 동학 개미 살아남’

[레벨업 한국증시] <상>자본 시장 리더가 본 투자 시장

변동성 주식에 대해서만 ‘가격없는 투자’

꾸준한 수익을 창출하기위한 자산 다각화

내년에는 주식 시장의 유입이 줄어들 겠지만

KOSPI는 3,000P 이상으로 정산됩니다

올해의 주식 시장은 일년 내내 드라마였습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으로 공포가 급격히 떨어졌지만 기술 선전과 ‘동학 개미’등장으로 바닥보다 거의 두 배나 높았다. 글로벌 주식 시장에서는 흔한 현상 이었지만 특히 한국 주식 시장은 개인 펀드의 유례없는 강력한 자금 이동으로 시장의 업그레이드로 평가 받았다. 국내 자본 시장의 리더들은 올해 주식 시장을 선도하는 동학 개미에 놀란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투자 자산 다변화와 리스크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내년에는 주식 시장으로의 시가 총액 유입 강도가 올해보다 느리 겠지만 코스피가 3,000 포인트를 넘기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경제가 ‘2021 년 한국 증시 전망’30 일 설문 조사에서 미래에셋 대우, 한국 투자 증권, NH 투자 증권, 삼성 증권, 금융 투자 협회 등 국내 주요 증권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 자산 운용사, 대표 이사 23 자본 시장 리더들은 동학 개미가 국내 주식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자 자산 다변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응답자 중 29.2 %는 다각화 투자의 중요성을, 리더는 20.8 %가 간접 투자 확대와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각각 꼽았다. 동학 개미는 올해 주식 시장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으 나 변동성이 큰 주식에 집중 해 리스크 관리에도 취약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공매도, 레버리지 상품 등 고위험 상품에 대한 투자를 피해야한다는 의견 (16.7 %)이 많았다. 올해 주식 시장은 급락 이후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며 높은 기대 수익률을 보였으 나 백신을 본격적으로 접종하고 약품 출시가 가시성 분야에 있다면 내년 주식 시장의 기대 수익률은 올해보다 낮습니다. 결국 리더들의 진단은 ‘원샷’을 목표로 한 투자보다는 코로나 19 이후 변화된 세상에 잘 적응 한 개별 기업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최현만 미래에셋 대우 부회장은 “내년에는 기대 수익률을 낮춰야한다”고 충고하고 “세계 변화에 잘 적응해온 컨택 기업을 위해 올해처럼 직접 대면하면 투자 수익이 높아질 것입니다. ”

올해 국내 주식 시장에서만 100 조원의 개인 자금이 주식 시장에 유입되었고 내년에는 가계 자금의 강도가 완화 될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다. 응답자의 60.9 %는 ‘올해보다 유입되는 금액이 적을 것’, 26.1 %는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금융 투자 회사가 주식 시장에 지속적으로 자금을 유입하기 위해서는 장기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과 함께 꾸준한 수익을 얻어야한다는 의견이 각각 43.5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투자자 금융 교육 강화 (4.3 %)와 저금리 환경 유지 (8.7 %)에 대한 의견이 소수였다. 나재철 금융 투자 협회장은“삼성 전자 등 우량 주식을 10 년 동안 장기간 보유하면 개인 투자자의 부를 늘릴 수 있고 국내 기업의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할 수있다. 자본 시장.” 국회와 정부가 더 과감하게 세제 혜택을 주어야한다.”

자본 시장 리더들은 내년 주식 시장이 올해 만큼은 아니지만 계속 상승 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특히 코스피 지수는 내년 대부분의 응답자가 3,000 점을 넘어 설 것으로 내다봤다. 리더의 47.8 %는 3,000 점 이상을 정산 할 수 있다고 답했고, 34.8 %는 3,000 점을 넘어서지 만 하반기에 다시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13 %만이 3,000 점을 넘지 않겠다고 답했습니다.

올해 코스피는 연초 대비 30 % 이상 상승 해 미국 스탠다드 앤 푸어스 500 지수, 일본 니케이 225 지수 등 선진국 성장률을 크게 상회했다. 특히 코로나 19 확산으로 주식 시장이 무너지고 지수는 1,400 포인트 대까지 떨어졌지만 연말 2,900 선을 돌파하며 글로벌 증시 중 가장 강한 회복력을 보였다. 그러나 시장 리더들은 여전히 ​​국내 주식 시장이 저평가되었다고 평가했다. 국내 주식 시장이 저평가 됐다는 의견은 전체의 65.2 %에 이르렀고 34.8 %가 적절하다고 답했다. 아무도 그것이 과대 평가되었다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국내 주식 시장이 저평가 된 이유는 기업 지배 구조와 주주 환원 정책의 부재 때문이었다. 실제로 모건 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 (MSCI) 한국 지수의 배당 성향은 26 %에 불과해 글로벌 지수 평균 (41 %)에 훨씬 못 미친다. 이현 키움 증권 사장은“국내 상장 기업 주주 환원 정책이 확대되면 외국인 수급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수있다”고 지적했다. 그 뒤 많은 응답자가 과도한 대외 의존 경제 구조 (21.7 %)와 높은 환율 변동성 (13 %)을 꼽았고, 리더의 8.7 %가 북핵 등 지정 학적 위험을 꼽았다.
/ 박성호, 이혜진 기자 [email protected]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