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보낸 학자금으로 동네 집을 샀을 때 … 벌금이 부과됐는데 왜?

입력 2021.03.25 14:10

# 작년 6 월, A 씨는 캐나다에서 유학중인 자녀에게 보낸 수업료를 파고 20 만 달러에 부동산을 샀습니다. 그러나 그는 벌금에 심하게 맞았고, 집을 사는 데 문제는 없지만,이 사실을 한국 은행에 신고하지 않아 외환 거래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았다. A 씨가 5 년 이내에 한 번 더 법을 위반하면 학생 비의 송금이 중지됩니다.

금융 감독원은 지난해 외환 거래법을 위반 한 거래가 총 923 건이었으며,이 중 871 건이 행정 제재 (벌금 및 경고)를 받고 52 건을 검찰에 신고했다고 25 일 밝혔다.

거래 유형별로는 해외 직접 투자 (923 건) △ 51.8 % (478 건), 현금 대출 △ 13.6 % (126 건) △ 부동산 투자 8.9 % (82 건) △ 4.9 % ( 45 건) 증권 거래) 백이 뒤 따랐다.



금융 감독원 제공

제재 대상은 기업 515 건 (55.8 %), 개인 408 건 (44.2 %)이었다. 제재 유형별로는 각각 경고 436 건 (47.2 %), 벌금 435 건 (47.1 %), 처벌 고시 52 건 (5.7 %)이었다.

금융 감독원은 개인이나 기업이 외환 거래법에 따른 신고 및 신고 의무를 잘 모르고있어 외환 거래법 위반으로 불이익을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금융 소비자의 관심을 요구했다.

외환 거래법에 따라 당사자는 외환 은행장, 한국 은행 총재 또는 기획 재정부 장관에게 신규 신고 또는 변경 신고 절차 준수 여부를 통보 할 의무가 있으며, 외환 거래 상황에 따른 신고 및 지급 / 영수

그러나 거래 당사자가보고 의무 자체를 인식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의무 위반 상황 중 신규 외국인 직접 투자 신고 의무 위반과 부동산 투자가 각각 52.1 %, 63.4 %로 가장 많았 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인 직접 투자의 경우 최초 신고 이후 신고 의무 위반 비율 (25.6 %)이 타 거래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외국인 직접 투자는 송금 신고, 증권 취득 신고, 연간 영업 실적 신고, 청산 신고, 해외 부동산 거래 신고, 부동산 취득 신고, 보유 현황 (2 년마다), 처분 신고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