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미국 금리 ↑, 한국 금융과 실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
“우리는 재정 지출의 과도한 확장에주의해야합니다”

사진 = 게티 이미지 뱅크
최근 미국 장기 금리 상승이 국내 금융 시장과 실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때문에 과도한 재정 지출과 장기 금리 안정화를 경계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한국 경제 연구원은 25 일 ‘한미 통화 정책 비교 : 금융 위기 vs 코로나 19’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연도 미국 금리 상승으로 외국인 투자 등 외자 유출이 가속화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했다. 금융 시장의 여파가 실물 시장으로 이전되면 국내 총생산, 투자 등 주요 거시 변수가 축소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엇갈린다.
한경연은 한국이 장기 금리 안정화를 관리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단기 금리 공략 정책은 기준 금리에서 벗어나야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그는 코로나 19 대응을위한 경기 부양책이 재정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통화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과도한 재정 지출 확대를 경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연 이승석 부 연구원은 “주가 지수 급락 등 자산 가격 하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주가 하락을 줄이기 위해서는 장기 금리 하향 안정화가 바람직하다. 경제 위기 동안 증가한 경제 실체에 대한 자금 조달 비용의 부담.
신현보 한경 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 닷컴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