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동산 보유 및 거래에 대한 세금은 OECD 회원국 중 세 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과 프랑스 이후… 거래세 1 위
![양도 소득세 (개인 기준)는 3 위 그래픽 이미지입니다. [자료제공=경제협력개발기구(OECD)]](https://i0.wp.com/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16/9935ce5e-9e3f-4367-bc9c-3080faaba641.gif?w=600&ssl=1)
양도 소득세 (개인 기준)는 3 위 그래픽 이미지입니다. [자료제공=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 일 유경준 의원에 따르면 2018 년 국내 부동산 관련 세 (보유세, 자산 거래세, 양도 소득세 등)는 명목 국내 총생산 (GDP)의 4.05 %에 이른다. 영국 (4.48 %)과 프랑스 (4.43 %)만이 GDP 대비 부동산 세 비율이 한국보다 높았다. 부동산 소유 세를 많이내는 것으로 알려진 미국은 부동산 세 3.97 %로 4 위를 차지했다. OECD 회원국 38 개국 (1.96 %)의 평균 부동산 세 분담율과 비교해도 한국은 두 배 이상 높았다. 〈중앙 일보 1 월 28 일 8면〉
![선진국을 능가하는 한국의 자산 거래세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경제협력개발기구(OECD)]](https://i0.wp.com/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16/736492fb-9410-47df-8be8-4b312d482d85.gif?w=600&ssl=1)
선진국을 능가하는 한국의 자산 거래세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의 거래세 부담이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 의원에 따르면 2018 년 한국 자산 거래세 규모는 GDP의 1.89 %로 OECD 회원국 중 1 위를 차지했다. 전체 평균 (0.45 %)은 4 배 이상이었습니다. 또한 GDP 대비 양도 소득세 (개별 기준)는 0.95 %로 3 위를 차지했다. 상속세와 증여세 (0.39 %)는 4 위였다. 세금의 낮은 비율은 ‘부동산 세'(보유세, 종합 부동산 세 + 재산세)입니다. 미국이 추정 한 2018 년 한국의 부동산 재산세 비율은 GDP의 0.82 %로 OECD 국가 중 18 위를 차지했습니다.

자산 양극화 심화. 그래픽 = 김은교 [email protected]
하지만 작년에는 1.2 %로 OECD 평균 (1.07 %)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의 불평등이 더욱 심해졌습니다. 유 의원이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추정 한 ‘부동산 지니 계수’는 2017 년 0.491에서 지난해 0.513으로 상승했다. 이 숫자가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높아집니다.
세종 = 김남준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