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 : 사회 : 뉴스 : 한겨레 모바일

줌 인터뷰 화면 캡처

“나는 흥분하고 떨렸다!” 3 일 김한결 (18)은 서울 시장 보궐 선거에 대한 사전 투표를했다. 내 인생의 ‘첫 투표’입니다. 그는 설레고 떨고 있었지만 “나에게 연락 할 약속이 없어요.”라고 말했습니다. “서약서와 유튜브 영상을 열심히 봤지만 청년과 관련된 서약은 거의 없었습니다. 내가 싫어하는 서약 마저도 ‘학생’이라는 표현이고 입학 시험과 관련이있어서 10 대가 아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를위한 서약처럼 보였다.” 7 일 서울 시장 선거에서 생애 처음으로 투표 할 예정이었던 18 세의 최선영도 고민했다. “청소년 관련 서약이 한두 개 밖에 없는데 유감입니다. 심지어 그 서약도 구체적이지 않고 추상적 인 내용 일뿐입니다. 내 결정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깊이 생각해야 할 책임감이 있습니다.” 지난해 4 월 총선에 이어 이번 재선은 선거 연령을 19 세에서 18 세로 내린 뒤 두 번째로 치러지는 선거이다. 그러나 ‘청년’은 여전히 ​​재선에 관심이 없었다. 4 · 7 재선을 앞두고 청년들은 4 · 7 재선을 앞두고 선거와 필요한 서약에 대한 목소리를 들었다. 서울 특수 고 3 학년 김한결 (18)과 최선영 (18)과 이번 선거의 유권자 인 부산 일반고 신입생 김찬 (16)은 경기도 일반 고등학교 4 학년 김선경 (18) 씨. 컨퍼런스 플랫폼 ‘줌’을 통해 만났습니다. 청년들은 서울 · 부산 시장 후보들의 공약과 캠페인 방식에 대해 전반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청소년 유권자들은 선거에서 완전히 배제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유권자는 아니지만 청년을위한 서약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자세히 살펴 봤지만 애초에 서약서에서 청춘이라는 단어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가끔 등장하더라도 무조건 공부하는 학생으로 묘사된다. 우리 나이에도 이미 취직을해서 일을하지 않거나 학교에 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김선경)“지원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표현 중 ‘나는 좋은 세상과 더 좋은 세상을 우리 아이들에게 물려 줄 것입니다. 청년 유권자가 있긴하지만 청년들은 후보자를 직접 뽑는 존재가 아니라 후보가 뭔가를 위해해야하는 존재로 객관화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찬) 10 대들은 후보자들의 캠페인 과정에서도 명함을받지 못하는 등 차별을 겪고 있다고 불평한다. . “도로에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캠페인을 진행하는 동안 그는 저나 다른 학생들에게 명함을주지 않았습니다. 교복을 입은 학생도 유권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최선영)“길에서 교복을 입고있을 때 후보 명함을받지 못했습니다. 명함을 받았습니다.” (김한결)“(친구들의 말을 들으며) 청소년은 시민으로서 동등한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청소년을위한 캠페인을 할 가치가 없습니다. 우리에게 도움이되지 않습니다. ‘어떤 서약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청년들의 삶을 둘러싼 다양한 정책 제안이 쏟아졌습니다. 그들이 가장 많이 언급 한 단어는 ‘청년 인권’이었다. “기존 정책은 종종 청소년을 보살핌과 교육의 소극적인 대상으로 만 보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러한 정책도 필요하지만 청소년 인권에 대한보다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재택 청소년이 지역 사회에서 안전하게 살 수있는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와 보호자없이 혼자 정신과에 가면 적절한 치료를받을 수없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김찬) 적용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장 후보가된다면 ‘확대하자’라는 슬로건을 활용 해 정책의 범위를 넓혀보고 싶다”고 말했다. (최선영) 인권 침해 요소를 담은 학교 규칙을 개정하는 등 실생활에서 느끼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나는 내 입을 모았다. “가장 기본적인 것이지만 잘 지키지 않는 것은 아동 청소년의 인권이라고 생각합니다. 헤어, 의복 등 인권을 침해하는 학교 규정이 아직 남아 있고, 학생 인권 조례에 규정 된 것은 잘못됐지만 학교에서 잘 지켜지지 않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김한결) ‘손을 잡아서는 안된다’는 학교 규칙도있다. 이 교육 규칙 자체가 문제이지만 데이트 파트너를 ‘남성과 여성’으로 제한하는 것도 이상합니다. 차별 금지 관련 정책도 있었으면 좋겠다”(김선경) 코로나 19로 인한 학습권 침해를 해결해야한다는 목소리도있다. “작년에는 코로나 19로 격주로 학교에 다녔는데 학교에서 필요한 공부를 다 못 할 것 같아서 작년 말 이후 처음으로 학원에 다녔어요. 가장 큰 문제는 공부 권 침해라고 생각합니다.” 비 대면 수업으로는 해결할 수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수업 당 학생 수, 법정 수업 일수를 줄이는 등의 제도 변화를 고려하여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재난 상황.” 꼬집었다. “제 반에는 27 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교실 구석에 10 개의 선거 관련 팜플렛을 놓는 것이 거의 전부였습니다. 투표 할 때 선거 용지를 접는 방법을 몰라 서둘 렀습니다. 선거 관련 교육이 좀 더 강화되기를 바랍니다.” (김한결)“투표 할 수있을만큼 나이가 많은데도 잘 모르기 때문에 모르는 친구들이 많다. 선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이 지원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최선영) 청년 투표와 정치 참여에 대한 굳은 시선에“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청소년들이 정치에 참여한다고하면 ‘공부 안 해요?’라는 인식이있는 것 같습니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처럼 청년이 사회 변화의 주축이 된 사례가 많다.” (김선경)“일부 정치인들은 학교가 정치 분야가되거나 학생들이 선생님의 말을한다. 나는 그것에 흔들리지 않았다. 젊은이들이 미래의 시민이 아니라 현재와 함께 살아가는 유권자로보고 싶습니다.” (김한결) 김윤주 기자 [email protected]

한겨레 뉴스 레터를 구독하세요!

뉴스 레터

매일 아침, 매주 목요일
뉴스의 홍수로부터 당신을 구할 친절한 뉴스 레터.
만나다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