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인프라를 떠나 … 결국 세운 2 지구 개발

서울의 도시 빈민가 홍보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세운 지구 일대.  상하수도 등 인프라는 열악하고 개선이 필요하지만 무력한 행정으로 인해 지난 10 년 동안 방치되어있다.  맞은 편 신축 건물은 민간이 건설 한 6 지구 사업을 통해 지은을지 트윈 타워이다. [매경DB]

사진 설명서울의 도시 빈민가 촉진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세운 지구 일대. 상하수도 등 인프라가 열악하고 개선이 필요하지만 무력한 행정으로 인해 지난 10 년 동안 방치되어있다. 맞은 편 신축 건물은 민간이 건설 한 6 지구 사업을 통해 지은을지 트윈 타워이다. [매경DB]

도심의 저개발 지역 인 세운 재정비 촉진 지구의 어려운 개발이 마침내 현실이되었습니다. 26 일 유지 보수 구역 해제 기한을 앞두고 세운 2 구역 내 일부 구역 만 개발 추진하기로했다. 서울시는 사업 시행 계획의 승인을 신청하면 개발을 막지 않겠다고했지만 실제 개발을 불가능하게 한 책임을 감추는 속임수로 비판을 받고있다.

23 일 세운 2 지구 재개발 사업 개발위원회는 35 개 지구 중 약 20 개 지구에서 개별적으로 합의 율을 확보 해 종로구 청에 사업 시행 계획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사업 시행 계획이란 건폐율, 용적률, 높이, 유지 보수 기반 시설 설치, 입주자 대책 등을 규정 한 정비 사업 (기본 계획)의 청사진을 말한다.

세운 2 지구 사업 시행 계획 승인 신청은 26 일 예정된 정비 구역에 대한 일몰 시스템 회피를 목적으로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3 월 기자 간담회를 열고 세운 재정비 촉진 지구 152 개 현장 중 89 개 현장을 해제하고 나머지 63 개 현장은 1 일 이내 사업 시행 계획 승인 신청을 조건으로 일몰 적용을 연기했다. 년. 당시 세운 2 지구는 모두 해가 질 무렵 중단되었고, 이번에는 세운 2 지구 내 20 여개 소구역이 토지 소유자의 75 % 이상의 동의를 얻어 사업 시행 계획 승인을 신청했다.

그러나 당시 서울시는 일몰 연장을위한 조건으로 세운 2 지구 개발을 거부했다고 밝혔으며, 동시에 35 개구가 허가 신청을 위해 동의율을 확보 할 것을 요구했다. 프로젝트를 구현합니다. 프로젝트의 승인은 토지 등 소유자의 75 % 이상이 동의하는 경우에만 적용 할 수 있지만 일부 지역에 토지 등의 소유자가 2 명 밖에 없어 개발이 저해된다는 해석이 많다.

서울시 정권이 노후 인프라 개선이라는 재조직 촉진 지구의 본래 목적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많다. 세운 재정비 촉진 지구는 40 년 이상 상하수도 시설과 생활 기반 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저개발 지역이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는 본 사업 시행 허가를 신청 한 곳에서만 인프라 개선이 가능해 인프라 개선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건물이 제대로 개조 및 보수되지 않았고, 본격적으로 토목을 시작하면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세운 2 지구 개발위원회 이영근 상무는 “1 ~ 2 층 건물인데 벽에 균열이 많고 위험도 인 D · E 등급 안전 진단을 위해 구청에서 수리를 의뢰하고 있습니다. ”

사업 시행 승인을하더라도 내부 지역 진입로 문제로 공사 자체가 불가능하다. 뒷길의 폭이 너무 좁아 건설 용 트럭은 물론 4 ~ 5 명이지나 가기 어렵 기 때문이다. 이광익 세운 2 지구 개발위원회 위원장은“가스관, 정화조 등 도시 기반 시설은 반드시 지상에 연결 돼야하지만 현 상황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세운 2 구역의 어려운 개발이 정비 구역이 산산조각 난 시점부터 예측 됐다는 데 동의한다. 세운 2 지구의 면적은 당초 38,900 평방 미터 였으나, 2014 년 박원순 시장은 순환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정비 구역을 35 개소로 나누었다. 이 과정에서 부지 면적이 300m2 미만인 곳도 발견됐다. J & K 도시 개발의 백준 대표는“세운 지구는 ​​어려운 개발을 촉진하기에는 너무 작은 곳”이라고 말했다. “시가 제안한 소규모 블록 추진 계획은 무의미하다.”

서울시는 도시 재생을 통해 정비 구역을 해제 한 지역을 관리 할 것이지만 인프라가 열악한 지역은 대규모 재편없이 관리 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이축복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