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데이터로 본 ‘코로나 2020’… 매장 매출 9 조원 급증, 열차 운송 7 억 5 천만 명 감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이 국내에 상륙 한 지 1 년이 지났습니다. 지난해 코로나 19의 사회적 영향을 빅 데이터로 분석했다. 대상은 국내시 ·도 중 확진 자 수가 가장 많은 서울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문화가 정착되면서 각 위기는 장애물을 넘어 섰지 만 아이러니하게도 자영업자에게 미치는 경제적 피해는 훨씬 더 컸습니다. 같은 자영업자라도 코로나 19는 소기업에게 더 고통 스러웠습니다.

코로나 19는 매출의 하위 30 %에서 더 잔인했습니다.

매출의 상위 30 %는 코로나를 공격하는 기업의 하위 30 %와 비교됩니다.  그래픽 = 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매출의 상위 30 %는 코로나를 공격하는 기업의 하위 30 %와 비교됩니다. 그래픽 = 박경민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시가 10 일“빅 데이터를 통한 서울 시민을위한 코로나 1 년 ”10 일 발표 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서 4 년 이상 운영 한 약 31 만개 기업 중 연평균 판매량 하위 30 %의 기업은 상위 30 %에서 감소합니다. 신용 정보 업체 한국 신용 뷰 (KCB)의 조사에 따르면 섬유, 의류, 신발 등 가죽 제품 소매 업종에서 매출 상위 30 % 기업의 매출은 지난해보다 28 %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하위 30 % 기업의 매출은 53 %로 1.9 배나 줄었다.

다른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외식 업계에서는 상위 30 % 기업의 매출이 21 % 감소했지만 하위 30 % 기업의 매출은 27 % 감소 해 6 % 포인트 더 떨어졌다. 카페를 포함한 주류를 판매하는 음료 산업의 경우 중소기업 매출 감소율은 35 %로 상위 기업 (27 %)보다 8 % 포인트 높았다.
서울시는“매출액의 하위 30 % 인 중소기업 사업자의 27 %가 60 대 이상이고 매출액의 상위 30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구로 아파트, 대학로, 명동이 문정역보다 더 큰 피해

코로나 19 발생 이후 서울의 상권 별 매출 수준.  그래픽 = 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코로나 19 발생 이후 서울의 상권 별 매출 수준. 그래픽 = 박경민 기자 [email protected]

상가 별 피해 패턴도 차이가 있었다. 외국인 관광객의 급격한 감소로 명동, 이태원 등 관광 상권 매출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2019 년 10 ~ 12 월 월평균 매출액을 100 %로 설정했을 때 코로나 19 발생 이후 관광 상권 월평균 매출액은 71 %에 불과했다. 9 월에는 사랑 제일 교회와 광복절 도시 집회가 열린 ‘두 번째 유행’직후 62 %로 떨어졌다.

대학생들이 학교에 다니는 대신 온라인으로 수업을 전환하면서 대학 상업 지구도 비슷한 타격을 입었습니다. 건국대, 홍익대, 이화 여자대, 대학로 등 12 개 대학 상권의 월평균 매출액은 전년 하반기의 74 %로 떨어졌다. 반면 구로구 아파트 단지, 문정역 등 주거 비율이 높은 지역 상권의 매출은 전년 대비 89 %로 관광, 대학 상권에 비해 호조를 보였다. 을지로 3가, 신설동, 영등포역 등 소매 상가의 월평균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90 %였다.

재택 근무 및 원격 수업 … 강동 · 은평 생활 인구 ↑ 중구 ↓

3 차 코로나 19 발생 당시 서울의 '생활 인구'증감 률.  그래픽 = 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3 차 코로나 19 발생 당시 서울의 ‘생활 인구’증감 률. 그래픽 = 박경민 기자 [email protected]

재택 근무, 원격 수업, 외출 자제 등 사회적 거리두기 확산은 출퇴근 등 서울 방문객 수에도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 피해는 주거 비율이 높은 지역보다 상업 및 상업 지구에서 더 심각했습니다. 대표 상업 및 상업 지역으로 꼽히는 중구의 경우 ‘생활 인구’가 주말 38.6 %, 평일 29.8 % 감소했다. 분석되었습니다.

생활 인구에는 서울에 거주하는 인구뿐만 아니라 통근, 관광, 의료, 학교 등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교외 인구도 포함된다. 살아있는 인구가 감소했다는 사실은 거주지에서 목적지로의 인구 이동이 감소했음을 의미합니다. 서울시는 생활 인구의 이동 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강남구 -18 %, 중구 -25 %, 종로구 -23 %의 이동량이 목적지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서울 지하철 수송 인원은 전년보다 7 억 4,012 만 명 (27.4 %) 급감했다.

새 학기 및 공휴일 유행성 … 점포 매출 9 조원 급증

코로나 19로 인한 지하철 탑승객 증가 / 감소율 그래픽 = 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코로나 19로 인한 지하철 이용객 증가 / 감소율 그래픽 = 박경민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시는“상업 지구의 생활 인구 감소, 자치구 주민의 이동, 대중 교통 이용 감소 등으로 시민들의 거리두기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분석했다. 그로 인한 경제적 충격은 심각했습니다.” 특히 코로나 19 1 · 2 차 유행은 설날, 신학기 (2 ~ 3 월), 여름 방학 (8 ~ 9 월), 매장 매출이 집중되는 추석에 시작 됐다는 분석이다.

서울 연구원과 신한 카드의 분석 결과 지난해 전체 매장 매출은 전년 대비 약 9 조원 감소했다. 매출액에서 가장 큰 타격은 한국 식품 산업으로 2 조 6000 억원 감소했다. 다른 요식업과 양식업, 중식 업 매출은 모두 1 조 7000 억원 줄었다. 감소율로 보면 면세점과 여행사 매출은 각각 2,217 억원 (82.4 %), 974 억원 (64.6 %) 감소했다.

약국 및 병원 매출 5,400 억원 ↑… 온라인 매출 4 조원 ↑

2020 년 산업별 매출 증감. 그래픽 = 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2020 년 산업별 매출 성장. 그래픽 = 박경민 기자 [email protected]

그러나 의료 부문의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약국과 종합 병원 매출은 각각 2,857 억원, 2,569 억원으로 전년보다 높았다. 성장률을 보면 숙제가 늘어 났고 가구 업계 매출은 623 억원 (22.4 %) 증가했다. 또한 온라인 및 결제 대행 서비스 매출이 4 조원 이상 증가 해 매장 매출 감소를 부분적으로 상쇄했다.

이에 피해 지역과 산업을 세분화하여 피해 지원을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 시티 정책 담당관은 “데이터 기반 코로나 후 정책 수립 등 과학 행정을 통해 공공 복지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말했다.

허정원 기자, 그래픽 = 박경민 기자 [email protected]


Source